▲한국의 미(전등사 대웅전 처마)한마디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처마를 쳐다보고 있으면 '정녕 한국의 미가 이런 거구나'하는 느낌이 든다
김정봉
김원용 선생은 <한국미 탐구>에서 조선백자의 미를 말하면서 "이론을 초월한 백의(白衣)의 미,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며 느껴서 모르면 아예 말을 마시오. 여기에 무엇 새삼스러이 이론을 캐고 미를 따지오.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며 느끼지 않는다면 아예 말을 맙시다"라고 했다. 이렇듯 한국미는 이론을 캐거나 따져서 발견하는 게 아니라 느껴야 한다는 것인데, 그래도 지금까지 미학자들이 축적한 연구실적을 통해 조금이라도 한국미에 다가설 수 있다면 만족할 일 아닌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는 동양 3국의 도자기를 비교하면서 "조형의 3요소를 형(形)·색(色)·선(線)이라고 할 때 중국도자기는 형태에, 일본도자기는 색채에, 한국도자기는 선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중국도자기는 형태의 완벽성과 위엄, 일본도자기는 색채의 화사함과 장식성이 특징이라면 한국도자기의 아름다움은 우리의 가슴을 저미게 하는 곡선에 있다"고 했다.(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3) '조선백자와 한국문화의 정체성' 중에서 발췌)
야나기는 한국의 조형물, 가령 석굴암, 첨섬대, 지붕처마선, 버선 등에서 무엇보다 선(線)적인 요소가 두드러진다고 보았다. 즉 선적인 아름다움이야말로 한국예술에 두드러지는 조형적 성격이라는 것이다. 이런 '선적인 요소' 혹은 '선적인 아름다움'이 한국 또는 한국적인 미를 대표하는 것이든, 그것을 해석하는 개념이든 논외로 하고 여기서는 우리 조형물에 담긴 선적인 아름다움 혹은 선적인 아름다움이 담긴 조형물을 감상하는데 한정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