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지역 노동자 2명이 열흘째 소각장 굴뚝에 올라가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김석진 현대미포조선 조합원이 현대미포조선의 최대 주주인 정몽준 의원에게 '현대미포조선 노조활동 현장탄압 중단, 이홍우 조합원 투신 관련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등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유성호
한편, 국민소득과 직결되는 부가가치유발효과 역시 사회서비스 분야가 더 높다. 2005년 기준 부가가치유발계수의 경우 건설 분야는 0.812인데 비해, 교육보건은 0.900이고 사회및기타서비스는 0.872이다(출처 : 한국은행 보도자료 '2005년 산업연관표(실측표)' 2008. 10. 29). 이는 14조원을 사회서비스 부문에 투자할 경우 국민소득 증대효과가 더 높아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며칠 전에 미네르바가 '2015~2017 기간 동안 세계경제가 또 다시 호황기를 맞이할 것이며 일본은 이때를 대비하여 대규모 연구개발투자를 준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고용효과와 내수부양효과가 별로 없는 SOC에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는 취지의 마지막 글을 올린 바 있다. 건설예산을 민생직접지원과 연구개발 등 혁신역량 강화에 써야 한다는 것이 내가 해석한 미네르바의 결론이다.
MB정부가 들어서기 전에는 '혁신'이라는 단어를 자주 들을 수 있었다.
21세기 지식경제에서는 노동·자본·토지 등 유형의 물적 투입요소 보다 정보와 지식, 인적자본 등 무형자산이 더 중요시된다. 따라서, 지식기술 수준 및 창의적 인적자원 풀(pool)에 의해 측정되는 혁신역량이 미래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학자들이 경제를 이야기할 때 항상 '혁신'이라는 단어가 따라다녔다.
MB 정부 출범 이후 이처럼 중요한 '혁신'이란 단어를 듣기 힘들다가 이번 시정연설에서 '혁신'이란 단어가 등장했다. 그런데, '대립적 노사문화 혁신'으로 표현되었다.
경제 분야의 혁신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판매가능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변화시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부에서 경제 살리기를 위한 혁신을 말할 때는 이러한 활동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정책과 예산으로 지원하는 내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지식기술을 위한 R&D지원, 창의적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교육 및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지원 등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MB는 경제살리기 위한 비상경제정부를 이야기하면서 뜬금없이 '노사문화 혁신'을 이야기하였다. MB에게 혁신은 국가적 차원의 혁신이 아니라, '미운 놈 버릇고치기'를 의미하는 것 같다.
대통령 시정연설을 듣고, 21세기 지식경제의 성장동력인 '혁신'의 자리에 과거 산업사회의 '삽질'과 독재사회의 '군기잡기'가 대신할 것 같은 예감이 든다.
덧붙이는 글 | 4대강 정비사업의 효과에 대하여 국토해양부는 19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으며, 대통령 시정연설 시작과 동시에 인터넷 언론 등을 통하여 배포된 시정연설문에는 일자리 창출효과가 20만개로 설명되어 있었다(대통령 시정연설에 대한 민주노동당의 대변인 브리핑도 일자리 창출효과를 '20만개'로 언급하고 있다).
나는 이에 의해 정부의 공식적인 일자리 창출효과 발표치가 20만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기사를 작성하였으나, 시정연설에서 대통령이 28만개로 발표한 사실이 나중에 알려졌다.
일자리 창출효과가 기존 발표치 보다 40% 가량 부풀려진 내역을 알 수는 없는 상태이나, 현재로서는 기존의 발표치가 오히려 더 합리적인 수치로 판단된다.
한편, 28만개 수치를 그대로 받아들인다고 해도 사회서비스업 분야의 고용효과가 기존의 계산 결과대로 17~40% 가량 더 많다는 사실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MB 시정연설, 핵심은 '삽질'과 '군기잡기'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