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닿소리소리가 만들어지는 위치와 예삿소리, 거센소리, 된소리, 유성음, 무성음 등을 고려하여 만든 순서입니다.
김은숙
먼저 '마, 나, 라, 아'를 가르치고 여기에 획을 더한 '바, 다, 사, 자, 가'를 가르칩니다. 다음 '파, 타, 차, 카, 하'를 가르치고, 마지막으로 '빠, 따, 싸, 짜, 까'를 가르칩니다.
미랑 언니의 질문은 예사소리와 거센소리, 된소리를 어떻게 가르치느냐 하는 거였습니다. 대부분은 학습 현장에서는 화장지와 같은 얇은 종이를 이용합니다. 거센소리를 발음할 때는 이 화장지가 움직이지만 예사소리와 된소리를 발음할 때는 조금만 움직이거나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방법보다 손바닥을 이용합니다. 화장지를 이용할 경우, 화장지의 떨림이 발음을 강하게 하면 예사소리와 된소리도 떨릴 수가 있고, 약하게 발음하면 거센소리도 떨림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 소리에 의한 떨림이 아니라 손이 떨려서 화장지가 떨릴 수도 있는 것이고요.
반면 손바닥을 입 가까이 대고 발음을 하면 따뜻함의 차이를 학습자가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먼저 자기 손바닥을 대게 하고 연속으로 발음하게 합니다. 다음 교사가 학습자의 손바닥을 교사의 입 가까이 대고 '바, 파, 빠, 사, 싸, 자, 차, 짜' 등으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거센소리일 때 입김이 많이 나오고 다른 소리보다 더 따뜻함을 느낍니다.
여전히 어려운 것은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별입니다. 이것은 입김의 따뜻한 정도로만 설명하기에는 부족합니다. 혹 효과적인 방법을 알고 계시는 분, 공유하면 어떨까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