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우리는 크게 격식을 따지지 않고 정성껏 음식을 마련해서 지낸다.
이현숙
명절이 돌아오면 난 여전히 마음이 설렌다. 아직 철이 덜 들어서인가? 그런지도 모르겠다. 여러 형제 중 막내라서 마땅한 책임이 없었으니까….
가령 똑같은 일을 해도 책임이 있는 사람은 중압감이랄까, 뭐 그런 걸 느끼고 잘 해도 별 칭찬 못 받지만 그저 구경꾼이었던 나는 조금만 거들어도 빛이 났다.
내 역할은 주로 엄마 옆에 앉아 잔심부름이나 하면서 다 된 음식을 찔끔찔끔 집어먹는 것. 그러다 막중한 그 책임은 엄마한테서 고스란히 큰새언니한테로 넘어 갔다. 대물림이란 얼마나 무섭냐 하면 우리 새언니는 음식하는 거 별로 즐겨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우리집 식구가 된지 어언 47년, 이제는 음식하는 마음가짐도 엄마와 똑 닮게 됐다.
예전 시골 명절은 참 풍성했다. 맨 처음 엿을 고는 것으로 음식만들기가 시작됐고, 며칠 전부터 대청소에 돌입. 하다못해 안방에 있는 장롱 장식까지 반짝반짝 윤이 나게 닦았다. 새날이라 새것을 먹어야 한다며 겨우내 땅속에 묻어 두었던 배추 무우를 꺼내 새로 김치도 담갔다. 배추김치, 채장아찌, 깍두기, 나박김치. 아마도 엄마 머릿속에는 한 달 전부터 설 준비할 목록이 빼곡히 새겨져 있었던 것 같다. 그럼에도 엄마는 늘 신이 난 표정이었다. 귀찮아 하는 기색은 찾아볼 수도 없었다. 그걸 지금은 새언니가 그대로 답습하는 셈이다.
"어머니 미역은 왜 담그세요?" 매번 참관만 하다가 어느덧 나도 책임이라는 게 생겼다. 제일 먼저 돌아온 건 시아버지 제사. 한여름이었다. 그러나 시어머니도 신랑도 특별한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 어떻게 하냐고 물어도, 그냥 지내면 된다는 말뿐 도무지 속시원히 가르쳐 주질 않았다. 동서가 있지만 서먹서먹한데다 어차피 우리 신랑이 제주라 주선은 우리가 해야 할 처지였다.
팔순이 넘은 시어머니댁에서 지내는 제사라 일단 우리가 먹을 걸 준비해갔다. 달랑 김치와 나박김치만. 김치는 밥상에 기본이고 나박김치는 우리집에서도 차례나 제삿상에 빠뜨리지 않고 올리는데다 시어머니가 좋아하시니까, 망설임 없이 담가서 가져갔다. 하지만 허전하다 못해 기분까지 이상했다. 도대체 뭘로 제사를 지낼겠다는 것인지…. 시어머니를 모시고 장을 보러 마트에 갔다. 그런데 우리 시어머니가 미역을 큰 걸로 집으셨다.
"어머니 미역이 떨어졌어요?"
"조금 있긴 있는데 사 가야지."
그래도 나는 눈치를 못챘다. 장을 봐서 집에 들어갔는데, 시어머니 미역부터 꺼내서 물에 담그신다.
"아니 미역은 왜 담그세요?"
"제사 지내야지."
"예에. 제사에 무슨 미역이 들어가요?"
"미역국을 끓여야 제사를 지내지." 아니 미역은 생일이나 애 낳았을 때만 먹는 건줄 알고 있었는데, 무슨 제사상에? 난 제삿상에 미역국을 올린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어 마트에서 미역을 사실 때도 짐작조차 못했다. '사돈의 풍습은 오이 먹는 법도 다르다'더니 어떻게 이렇게 다를까.
나머지 제사 음식은 동서가 해온다고 했으니까, 나는 고기를 푹 고아서 미역국 끓이는 일외엔 할 일이 없었다. 가스렌지에서 끓고 있는 미역국만 쳐다보고 있노라니, 빈둥빈둥 심심하기가 이를 데 없었다. 도무지 내가 제사를 지내러 온 건지 구경만 하러 온 건지 헷갈리면서 자연스레 우리집(친정) 제삿날 생각만 모락모락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