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버린 우리 말투 찾기 (13) 것

[우리 말에 마음쓰기 605] ‘신랑이 될 거야’, ‘밭을 지키는 것’, ‘피운다는 거야’

등록 2009.04.10 10:23수정 2009.04.10 10:23
0
원고료로 응원

 

ㄱ. 초롱이 신랑이 될 거야

 

.. "나는 커서, 초롱이 신랑이 될 거야." 금강이가 말하면, "나는 커서, 금강이 신부가 될 거야." 초롱이도 말합니다 … "전쟁보고 가시 울타리를 치우라고 할래요. 그리고 멀리 가 버리라고 할래요!" ..  《엘즈비에타/홍성혜 옮김-시냇물 저쪽》(마루벌,1995) 4, 16쪽

 

 아이들 말투를 흉내내는 어른들은 곧잘 "할 거야", "먹을 거야", "버릴 거야"처럼 말하곤 합니다. 꼭 아이들 말투 흉내가 아니더라도, 어른들은 "-ㄹ 거야" 하고 말합니다.

 

 ┌ 신랑이 될 거야 → 신랑이 될래

 └ 신부가 될 거야 → 신부가 될래

 

 '것'이든 '거'든, 말을 하거나 글을 쓰면서 얼마든지 넣을 수 있습니다. 넣고 싶으니 넣고, 이 말을 넣는 말투가 좋아서 넣습니다.

 

 ┌ 치우라고 할래요 (o)

 ├ 치우라고 할 거야 (x)

 │

 ├ 가 버리라고 할래요 (o)

 └ 가 버리라고 할 거야 (x)

 

 그런데, 우리들은 '것'과 '거'를 한 번 두 번 쓰는 동안, 우리 말투를 잊거나 잃지는 않나 모르겠습니다.

 

 ┌ 신랑이 될 테야

 ├ 신랑이 될 생각이야

 ├ 신랑이 되려고 해

 ├ 신랑이 되어야지

 └ …

 

 그림씨도 많고 움직씨도 많은 한국말은 씨끝도 많아, 느낌이 자디잘게 달라질 때마다 살짝살짝 말끝을 바꾸어서 나타냅니다. 뭉뚱그려 말할 때도 있을 터이나, 곳에 알맞고 때에 걸맞게 자기 말씨를 드러냅니다.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이제는 우리 생각이 자디잘게 나누어지지 않으니, 우리 말씨도 구태여 자디잘게 나타내지 않아도 되는지 모릅니다. 대충 말하고 대충 사는 우리들로 달라지고 있으니, 말도 대충 하고 글도 대충 쓰는 흐름으로 바뀌어 가는지 모릅니다. 때에 맞추고 곳을 살피던 말씨는, 오늘날에는 아무런 쓸모도 값도 뜻도 없는지 모릅니다.

 

 

ㄴ. 밭을 지키는 것을

 

.. 옛 어른들은 콩을 심을 때, 세 알을 심어서 새가 한 알 먹고, 벌레가 한 알 먹고, 한 알이 싹을 터서 사람이 먹고자 하는 너그러운 마음이 있었습니다. 요즘은 밭에 콩을 심어 놓고 새들이 먹을세라 밭을 지키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  《이태수-자연이 예술을 품다, 숲속 그늘 자리》(고인돌,2008) 46쪽

 

 '종종(種種)'은 '가끔'이나 '때때로'나 '드문드문'으로 고쳐 줍니다.

 

 ┌ 밭을 지키는 것을

 │

 │→ 밭을 지키는 모습을

 │→ 밭을 지키는 사람을

 └ …

 

 보기글을 보면, 예전에는 밭에 콩을 심고 '지키지 않았다'고 이야기합니다. 둘째 글월 앞머리는 '요즘은 밭에 콩을 심어 놓고'로 엽니다. 이렇게 연 앞머리라 한다면, 뒤쪽에 '종종 볼 수 있습니다'는 덜 수 있습니다. "요즘은 밭에 콩을 심어 놓고 새들이 먹을세라 밭을 지킵니다"처럼.

 

 좀더 올바르게, 한결 알맞춤하게, 더욱 살갑게 말을 하거나 글을 쓸 수 있다면 더없이 반갑고 고맙습니다. 조금씩 마음을 기울여 주면, 차츰차츰 익혀 나가면, 가만히 돌아보고 되짚으면서 추슬러 주면, 누구나 아름답고 훌륭하게 말을 하고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 말을 사랑하지 않으니 아름답게 말을 못 할 뿐입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 글을 믿고 가꾸지 않으니 훌륭하게 글을 못 쓸 뿐입니다.

 

 

ㄷ. 어떻게 꽃을 피운다는 거야

 

.. 봉숭아 씨앗이 눈을 뜬 거예요 …… "쯧쯧, 그런 더러운 데서 어떻게 꽃을 피운다는 거야?" 봉숭아는 기분이 나빴지만 못 들은 체했어요. '내일은 꼭 좋은 일이 생길 거야.' ..  《박재철-행복한 봉숭아》(천둥거인,2004) 4쪽

 

 어린이책을 쓰는 분들 말씨를 살피면 '것(거)'이 무척 자주 튀어나옵니다. "하겠니?"나 "할래?"라고 쓰기보다는 "할 거니?"라 쓰기를 좋아합니다. "그렇지는 않아"라 하면 되는데, "그런 거는 아냐"라 하기 일쑤입니다.

 

 ┌ 어떻게 꽃을 피운다는 거야?

 │

 │→ 어떻게 꽃을 피운다고?

 │→ 어떻게 꽃을 피운다고 그래?

 │→ 어떻게 꽃을 피운다는 소리야?

 └ …

 

 이 자리에서는 "어떻게 꽃을 피운다고?"라고 끊어 주면 됩니다. 그러나 굳이 '거야(것이야)'를 뒤에 붙이고 맙니다. 단출하게 글을 끝맺기보다는 한 마디 더 넣어서 받치고 싶었다면, "어떻게 꽃을 피운다고 그러니?"나 "어떻게 꽃을 피운다고 그래?"처럼 적으면 되는데요.

 

 ┌ 좋은 일이 생길 거야

 │

 │→ 좋은 일이 생길 테야

 │→ 좋은 일이 생기겠지

 │→ 좋은 일이 생기리라 믿어

 └ …

 

 보기글 앞쪽에도 "눈을 떴어요"라 하지 않고 "눈을 뜬 거예요"처럼 적습니다. 쪽수가 얼마 안 되는 그림책인데, 한 쪽에서만 세 차례 나오는 '것(거)'. 이 그림책을 보고 자라는 아이들 말씨에도 '것(거)'이 자주 튀어나올 테지요. 이 그림책을 먼저 읽으며 아이들한테 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른들 말씨에도 '것(거)'이 떨어지지 않겠지요.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작은자전거 : 인천+부천+수원 자전거 사랑이] http://cafe.naver.com/inbusu

2009.04.10 10:23ⓒ 2009 OhmyNews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작은자전거 : 인천+부천+수원 자전거 사랑이] http://cafe.naver.com/inbusu
#말익히기 #우리말 #한글 #국어순화 #우리말 다듬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2. 2 81분 윤·한 면담 '빈손'...여당 브리핑 때 결국 야유성 탄식 81분 윤·한 면담 '빈손'...여당 브리핑 때 결국 야유성 탄식
  3. 3 나무 500그루 가지치기,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일 나무 500그루 가지치기,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일
  4. 4 윤석열·오세훈·홍준표·이언주... '명태균 명단' 27명 나왔다 윤석열·오세훈·홍준표·이언주... '명태균 명단' 27명 나왔다
  5. 5 [단독] 명태균 "검찰 조사 삐딱하면 여사 '공적대화' 다 풀어 끝내야지" [단독] 명태균 "검찰 조사 삐딱하면 여사 '공적대화' 다 풀어 끝내야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