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박효원
"장자연씨가 살아있다면 어땠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지금처럼 분노하고 그를 지지했을까요? 아마도 '뭘 잘했길래 (성접대를) 공개하냐'는 악의적 댓글이 이어졌을 테고, 장자연씨는 죽음과 같은 고통을 느꼈을 것입니다."
22일 오전 10시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열린 '성착취 침묵의 카르텔 어떻게 깰 것인가' 토론회 참석자들은 일반 대중들에게 고 장자연씨 죽음의 책임을 물었다. 성접대 의혹에 연루된 연예제작사나 사회 권력층만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이다.
'침묵을 깨는 아름다운 사람들' 발족... 여성연예인 인권 보호이날 인권단체들은 이같은 내용의 토론회를 열고 여성연예인 인권지원 서포터즈 '침묵을 깨는 아름다운 사람들'을 발족했다.
서포터즈에는 고 장자연씨 사건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 이후 성착취에 내몰리는 여성연예인들을 위해 '여성연예인 인권 SOS센터'를 만들어 상담과 지원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서포터즈에는 28개 인권·여성·문화단체가 참여했고, 개인 참여도 112명에 이른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여성 연예인들의 섹스·성형 스캔들을 즐기고 관련 기사에 악성댓글을 다는 누리꾼들, 여성연예인들에게 '마르면서 풍만하고 섹시하면서 청순해야 한다'고 강요하는 남성의 성적 판타지를 지적했다.
키라 한국성폭력상담소 활동가는 "다이어트에 성공한 개그우먼이 흡입했다고 방송에 못 나오고, 시사프로그램 여성 진행자가 체중이 늘어서 퇴출되는 상황이 고 장자연씨 죽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여성연예인들이 직접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 이를 위한 직접 소통의 자리를 시도할 생각인데, 현실적으로 어떻게 가능할지는 고민이 남는다"고 말했다. 기획사에 발이 묶인 데다가 이미지로 먹고사는 연예인들이 성착취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여성연예인들은 이같은 문제의식에 공감하면서 서포터즈 참여를 고민했지만 결국 동참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학자 오한숙희씨는 "많은 여성연예인들이 발족식에 나가거나 이름이라도 넣을까 고민하면서 어제까지 내게 전화를 했다, 그러나 이들을 보호하자는 생각에서 만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들이 이 자리에 나와도 표적이 되지 않는 수준까지 운동을 끌어가야 한다"고 결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