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6일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른다. 이명박(MB) 외교의 한계다. 이른바 '이명박식 실용외교'에 걸었던 혹시나 했던 기대는 '역시나'로 끝났다.
"북한은 전쟁에 대한 미련은 있지만 실행에는 못 옮길 것으로 생각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각) 워싱턴 한미정상회담 및 공동기자회견에서 한 얘기다. 북측이 전쟁에 미련이 있다는 것은 '내심 전쟁을 원한다'는 뉘앙스이다. MB가 뛰어넘고 싶어하는 6.15공동선언은 물론, "전쟁을 배격하고 평화를 만들어 나가자"던 남북기본합의서에도 반한다.
문정인 "남북관계 위기 책임은 MB정부가 '전쟁 불감증'에 감염된 탓" 한미정상회담이 열린 다음 날, '위기의 남북관계, 전망과 해법'을 주제로 한 한국미래발전연구원(김우식 이사장) 정례세미나에서 문정인 교수(연세대 정치외교학)는 냉전시대로 회귀한 남북관계의 현실에 대해 "무엇보다도 MB정부 스스로가 안보와 전쟁 불감증에 감염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의 대북정책이 '평화를 소중히 하고 전쟁을 두려워해 전쟁을 막아야 한다'는 기조였다면, MB 정부는 전쟁을 예방하기보다는 전쟁을 두려워하지 않고 전쟁 나면 빨리 이긴다는 생각뿐이다. 평화를 소중하게 생각하지도 않고 전쟁을 두려워하지 않는 정부, 이것이 이명박 정부의 현주소다."보수우익을 대변하는 MB정부가 안보 불감증에 감염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현실이다. 그러나 MB의 안보 및 전쟁 불감증은 남북 분단과 갈등 관리를 단순히 경제관계로 환원시키려는 개성공단에 대한 인식에서도 잘 드러난다. MB는 공동기자회견에서 개성공단 유지 여부를 묻자 이렇게 답했다.
"개성공단 문제는 북한이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 우리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이미 4만 명의 북한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공단 문을 닫으면 북한서 4만 명 근로자의 일자리가 없어진다. 북한 자신을 위해서도 무리한 요구를 하면 안 된다. 지나친 요구를 하면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 장담할 수 없다."이 대통령은 북측이 지난 11일 2차 개성회담에서 토지사용료와 노동자임금 인상안을 제시한 것에 대해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을 뿐 아니라, 우리측이 먼저 개성공단을 폐쇄(철수)할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 "개성공단 철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던 정부의 기존 태도와는 사뭇 다르다.
MB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 장담할 수 없다"2차 회담에 참석한 김영탁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대표는 11일 기자회견에서 "회담 분위기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웠다"면서 "(개성공단에서) 나가라고 하는 뜻은 전혀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협상대표는 '그런(나가라는) 뜻이 전혀 없다'는데 대통령이 먼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며 '나갈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 같은 강성 발언은 정부의 선결과제인 현대아산 유씨와 미국 여기자의 억류 문제를 의식한 것이거나 미국에 대한 립 서비스일 수 있다. 실제로 MB는 이 발언을 하면서 "개성공단 근로자, 미국 기자들이 억류돼 있는데 조건 없이 석방하기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당장 남북한은 19일 3차 개성회담을 앞두고 있다. 협상을 앞두고 대통령이 먼저 선을 그으면 협상팀은 '노(NO)'라고 말하는 것 말고는 할 일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북측이 어떻게 반응할지가 벌써부터 걱정된다.
개성공단 제품의 최대 수입처는 유럽연합(EU)이고, 그다음이 중국, 러시아, 중동, 호주 순이다. 미국과는 원산지 표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것이 장기적으로는 개성공단 발전의 최대 장애물이다. 예를 들어 넥타이의 경우, 일반 국가의 미국 시장 관세율은 7.6%인 반면에 북한산에는 65%의 세율을 매긴다.
길게 보면 한미 간에는 개성공단 제품의 원산지 표기 문제가 과제로 남아 있다. 당장 개성공단 제품이 한국산과 동일한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역외가공지역(OPZ)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부속합의서 개정을 위한 협상이 필요하다. 그런데 대통령이 공단에서 '나갈 수도 있다'는데 협상력이 있을지 의문이다.
개성공단은 DJ가 씨 뿌리고 노무현이 거둔 남북경제협력의 '옥동자'개성공단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지난 98~99년 방북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800만 평 규모의 서해안공단 개발계획을 제안해 김 위원장이 이를 수용한 것이 단초였다. 이후 6.15 남북정상회담 두 달 뒤에 현대와 북한 아태평화위원회 사이에 개발합의서가 체결되었고,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첫 삽을 떴다. 김대중 정부가 씨를 뿌려 노무현 정부가 거둔 '옥동자'인 셈이다.
전통적인 의미의 생산의 3요소는 토지와 자본 그리고 노동이다. 산업화 이후에는 거기에 기술이 보태졌다. 개성사업은 남북한이 각각 비교우위가 있는 생산요소를 결합하는 시도이다. 즉 각각 비교우위에 있는 자본-기술(남한)과 노동-토지(북한)를 결합시켜 새로운 비교우위(연계비교우위)를 창출해 경쟁력을 키우려는 시도이다. 그런 점에서 개성공단은 남북한의 실용적인 경제협력모델로서 주목받는, 한 마디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협력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