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오이큰것이 백다다기오이 작은 것이 토종청국오이
참거래
신토불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불신국토(佛身國土)라는 불교용어에서 '신토'를, 해탈의 경지의 마지막 문인 불이문(不二門)에서 '불이'를 따온 말이다. 이 용어에 대해 일본식 조어라는 의견이 있지만 "우리 것, 즉 토종은 좋은 것이다"라는 인식을 확산 시키는데 적잖은 영향을 주었다.
얼마전, 1년 전에 결혼한 의성의 농부로부터 전화가 왔다. 유기농으로 토종오이를 재배했다는 것이다. 토종오이의 이름은 '청국오이'. 우리가 먹는 오이는 대부분 '취청'이라는 가시 오이와 백다다기라고 하는 오이가 주류를 이룬다. 토종오이 청국은 백다다기처럼 작고 통통한 오이다. 취청은 토종이 아니고 청국오이는 토종이라는데 그럼 과연 토종은 무엇인가?
토종의 의미는 무엇인가?토종을 한국 자생이나 원산이라고 한다면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물중 토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찾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작물들은 시기만 달리 할 뿐 외래종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엄격한 의미에서 토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한국이 원산지여야 하는데 콩이나 잡곡 일부를 빼고 우리가 먹는 배추, 상추, 오이, 가지, 토마토, 감자, 고구마 등 대부분은 수입 시기만 다를 뿐 외래종일 확률이 높다.
원산지로 규정할 수 없다면 토종의 정의는 어떻게 내려야 할까? 토종종자 보급에 앞장서는 단체에서는
'토착화된 종자로 자가채종이 가능한 종자'를 토종으로 정의했다. 토착화란, 한국 지형에 적응하여 꽤 오랜 시간 재배되었고, 채취한 씨앗을 다음해에 심으면 기존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시장에서 구입해 먹는 농산물의 상당수는 종자회사에서 상품으로 나오는 씨앗으로 키운 것들이다.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첫해에는 좋은 품질을 보여주지만 다음해에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종자회사 입장에서는 한 번 판매하고 다음해에 다시 팔지 못한다면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채종한 씨앗을 심는 경우 기존의 품질을 유지해서는 사업이 안되는 것이다.
이것을 '터미네이터 식물'이라고 한다. 형질조작을 통해 만든 1회용 씨앗으로, 이 씨앗으로 키운 작물은 열매는 잘 맺지만 열매 속 자신의 씨앗을 스스로 파괴하는 성질을 가졌다. 씨앗은 자신을 육종해 교배한 회사의 이익을 위해 스스로를 파괴하는 시한폭탄을 안고 있는 것이다. 불임 부부만 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불임씨앗도 늘고 있는 것이다. 어찌 생각하면 참 무서운 일이다.
대한민국 종자회사의 역사는 일제식민지 시대에 시작하지만 본격적인 시작은 1960년대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럼 그들이 출현한 배경은 무엇인가? 종자회사가 없던 시기에도 우리 땅에선 많은 작물이 재배되었다. "1911년과 1913년에 각 도와 시・군에 의뢰하여 수집한 『조선도품종일람』에 보면 1,451품종이나 되었다"[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안완식 저, 사계절 출판사, 2000)참조]고 한다. 종자의 다양성으로 보면 현재 종자회사가 보급하는 종자보다 많았다. 토종 종자가 사라지기 시작한 것은 농업의 목표가 자급자족에서 대량생산과 환금성이라는 목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