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도를 끼고 있는 아름다운 여수
조순익
자산공원은 말이야, 여수에서 전망 좋기로 이름난 곳이야. 여수를 상징하는 돌산대교도 한눈에 들어오고, 우리가 오늘 여행할 오동도도 훤하게 보이지. 그런데 왜, 섬 이름이 오동도냐고? 그래. 오동잎을 닮았다고 해서 오동도라고 하였대. 가만히 봐. 섬이 정말 오동잎처럼 생기지 않았어?
(Jasan Park is famous for its view in Yeosu. We can easily see the Dolsan Bridge, which symbolizes Yeosu, and also look toward Odongdo, our destination. Do you wonder why the island's name is Odongdo? Right, Odongdo was named after paulownia flowers(in Korean, it's Odong.) because the island looks like paulownia's leaf. Compose yourself to it and take a close look at it. Doesn't the island look just like leaf of a paulownia flower?)아, '섬'이라고 하는데 '섬'이 아닌 것 같다고? 그러게. 육지로 연결되어 있으니 섬이라고 하기, 좀 그러네. 하지만 오동도는 원래 섬이었어. 그런데 아주 오래 전에 방파제를 쌓아 육지와 이어 놓았지. 방파제는 그 길이만도 모두 1,213m나 된대. 동방파제가 445m이고, 서방파제가 768m이니 상당하지.
(Oh, you may be curious about why it's called an island, since it's connected with land. Odongdo was actually an island, but our ancestors built a seawall long time ago and linked it with land. The seawall is so long as 1.2km! The east seawall is 445m, and the west is 768m. So longer than expected, isn't it?)그런데 무슨 책을 들고 있냐고? 응,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라는 책이야. 이 책에 있는 시를 들려주고 싶어서 가지고 왔어. 웬 시? 그래. 일단 들어 봐.
(Do you wonder which book it is? This is "T0 HAVE OR TO BE" written by Erich Fromm. We brought it to appreciate a poem with you. Which poem? Okay, we will recite, so please listen carefully.) 눈여겨 살펴보니
울타리 곁에 냉이꽃이 피어 있는 것이 보이누나!
(Looking carefully, It seems that shepherd's purses are blooming near the fence!)잘 들었어? 이 시는 일본 시인 마쓰오 바쇼의 시인데, 뭔가 떠오르는 게 있어? 고개를 갸우뚱하는 걸 보니 잘 모르겠다는 표정이군. 그럼, 시 한 편을 더 들려 줄게. 이 시는 영국의 시인 테니슨의 작품이야.
(Can you feel it? This poem was written by Matsuo Bashou, a Japanese poet. Do you have anything coming to your mind? With a tilt of your head, it looks like you don't understand well. Then we'll tell you another poem. This is a poem written by Tennyson, an English poet.) 갈라진 벽 틈새에 핀 꽃이여,
나는 너를 그 틈새에서 뽑아내어,
지금 뿌리째로 손 안에 들고 있다.
작은 꽃이여― 그러나 만약 내가
뿌리째 너를, 너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면,
신과 인간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으련만.
(Flower in the crannied wall, I pluck you out of the crannies; Hold you here, root and all, in my hand, Little flower - but if I could understand What you are, root and all, and all in all, I should know what God and man is.)두 시가 어떻게 다른지 알겠어? 잘 모르겠다고? 그럼 우리가 알려 줄게. 두 시는 모두 산책길에서 본 꽃을 보고 노래하고 있어. 하지만 바쇼는 꽃을 보기만 하는데, 테니슨은 꽃을 뿌리째 뽑아 버렸지.
(Can you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Don't know? Then we can tell you. Both of them are telling about the beauty of a flower on a walk. However, Tennyson rooted out the flower while Bashou was just looking at it.)이를 에리히 프롬은 어떻게 해석한지 알아? 바쇼는 아름다운 자연을 존재 자체로 바라보기만 하는데, 테니슨은 자연을 자기 마음대로 소유하려 한 거래.
(Do you know how Fromm interpreted this? He said that Bashou just wanted to watch the nature as it was, and Tennyson tried to possess the nature for his own.)그러고 보니, 이제 뭔가 알겠다는 눈치군. 아름다운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닥치는 대로 '개발'하여 자기 잇속만을 챙기려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Now you've got it! Some people want to 'conserve' the beautiful nature as it is, and others try to 'develop' it to gain their own profit.)하지만 걱정하지 마. 우리 여수 사람들은 오동도를 '바쇼'처럼 바라만 보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 '테니슨'처럼 뿌리째 뽑아 버리지도 않았어. 그럼 어떻게 대했느냐고?
(But never worry! The people of Yeosu didn't choose any of them. We did not root out the nature like Tennyson, but we did something other than just looking around. Then how do we treat it?) 나 홀로
숲속을 거닐었지.
아무것도
찾을 뜻은 없었네.
그런데 그늘 속에 피어 있는
작은 꽃 한 송이 보았지.
별처럼 반짝이고
눈망울처럼 예쁜 꽃을.
그 꽃을 꺾고 싶었는데,
꽃이 애처롭게 말했네.
내가 꺾여서
시들어 버려야 되겠어요?
하여, 꽃을 고스란히
뿌리째로 캐어,
예쁜 집 뜨락으로
옮겨왔지.
조용한 자리에
다시 심어 놓으니,
이제 늘상 가지 치고
꽃 피어 시들 줄 모르네.
(I was walking in the woods Just on a whim of mine, And seeking nothing, That was my intention. In the shade I saw A little flower standing Like stars glittering Like beautiful little eyes. I wanted to pick it When it said delicately: Should I just to wilt Be picked? I dug it out with all Its little roots. To the garden I carried it By the lovely house. And replanted it In this quiet spot; Now it keeps branching out And blossoms ever forth.)이 시는 괴테의 시야. 여기서 괴테도 산책길에서 본 꽃을 이야기하고 있지. 하지만 괴테는 바쇼처럼 보고 있지만도 않고, 테니슨처럼 꽃을 꺾지도 않았어. 꽃을 뽑아 뜨락으로 옮겨 심었지. 그런데 말이야, 우리 여수 사람들이 오동도를 인간의 삶에 불러들이는 방식이, '괴테'와 매우 닮았어.
(This is a poem written by Goethe, he was also telling about a flower he saw while taking a walk. Goethe neither looked on it like Bashou, nor rooted it out like Tennyson. He picked up the flower and transplant it into his garden. And, Yeosu people have adored Odongdo just as he did.)물론 그냥 보고만 있는 '바쇼'가 되면 오죽 좋겠어? 하지만 자연을 그대로 두고 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잖아. 그렇다고 꺾어놓고 죽어가는 꽃을 보고 있는 '테니슨'이 되어서는 안 되겠고. 그래서 우리는 '괴테'처럼 오동도라는 꽃을 '시들지 않게' 인간에게 옮겨 심으려고 애써 왔어.
(Of course, just like in Bashou's way, conserving nature as it is, is the best, but it's hard to do so in the real world. Also, we can't choose the way of Tennyson's rooting out the flower and seeing it dying. So, we took Goethe's way and tried to transplant a flower named Odongdo to the view of humans 'without wilting'.)오늘은 그것을 우리 친구들에게 보여 주려고 떠나는 여행인데, 어때? 재밌겠지?
(Today, we take a trip for you to look at that. How is it? Does it seem inter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