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두리풀
김현자
그런데 재미있게도 주머니가 터질 무렵이면 주변을 오고가는 개미가 많아진다. 그리하여 개미들은 주머니에서 나온 족두리풀 씨앗을 물고 사라진다. 개미들은 씨앗에 붙어있는 것들만 쏙쏙 떼먹고 씨앗들은 버릴 것이다. 아마도 제비꽃 씨앗에 붙어있는 작은 알갱이 엘라이오솜만을 떼먹고 버리는 것처럼 말이다.
족두리풀의 주머니는, 꼬투리가 벌어지는 순간 씨앗이 멀리 튕겨져 나가는 제비꽃이나 괭이밥 등과 달리 씨앗이 모두 익으면 주머니가 부서지고 만다. 그러니 개미처럼 씨앗을 어딘가로 옮겨줄 곤충이 꼭 필요하리라. 올 봄 족두리풀 씨앗 좀 받아 볼까. 몇 포기 정해두고 서성거려봤다. 실패했다. 어느 순간, 날랜 개미들이 모두 가져갔기 때문이다.
족두리풀로서는 인간보다는 개미에게 내어주는 것이 훨씬 믿음직스러워 아예 작정하고 나를 따돌린 것이 아닐까 싶을 만큼 오랜 시간 서성거린 것에 비해 너무도 빨리, 족두리풀 씨앗 분양은 한순간에 끝나고 말았다.
그런데 머지않아 팥소(주머니)가 터질 것을 개미는 어떻게 알아차리고 그 주변을 서성이는 걸까? 족두리풀이 씨앗이 모두 익었노라 특별한 물질을 내뿜기라도 하나? 궁금하고 신기하다. 이 궁금한 것들을 풀어주는 책이 정부희 박사가 쓴 <곤충의 밥상>(상상의 숲 펴냄)이다.
'애호랑나비'는 |
애호랑나비는 진달래꽃이 필 때쯤만 볼 수 있습니다. 진달래꽃이 남쪽에서 피기 시작해 북쪽으로 올라오면서 애호랑나비도 따라서 모습을 보입니다. 진달래꽃 북상 시기와 애호랑나비 출현 시기가 비슷한 것이지요. 이른 봄, 산길에서 만날 수 있는 애호랑나비. 일 년 중 겨우 열흘 정도 볼 수 있는 어른벌레가 진달래꽃, 얼레지꽃, 현호색꽃...봄꽃에 찾아와 꿀을 빨아먹는 모습이 매우 아름답습니다. 몸 색깔은 검은색과 줄무늬가 선명하고 빨간색까지 곁들여져 있어 영락없는 호랑이 무늬지요. 그래서 북한에서는 애기범나비라고 부릅니다. 석주명 선생님은 이른 봄에 나타나니 '이른봄호랑나비'라고 불렀고, 지금은 호랑나비보다 몸집이 작아 '애(아기)호랑나비'라고 부릅니다.-책속에서 |
4월 혹은 5월, 족두리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나비는 십중팔구 애호랑나비다. 애호랑나비는 족두리풀 잎에만 알을 낳고, 족두리풀 잎에 알을 낳는 곤충은 이 애호랑나비가 유일하기 때문이다(이제까지 알려지기는)
애호랑나비 암컷이 할 일은 꿀을 열심히 빨아 영양분을 보충하여 알을 낳는 것이다. 꽃이 그다지 풍성하지 않은 이른 봄, 애호랑나비는 어떤 꽃이든 가리지 않고 아무 꽃에나 앉아 기다란 빨대모양의 주둥이로 꿀을 열심히 빤다. 짝짓기를 마친 애호랑나비 수컷은 2~3일 안에 죽는다. 암컷도 알을 낳은 후 죽는다.
애호랑나비는 대략 12~17개의 알을 낳는데, 재미있게도 족두리풀의 영양 상태에 따라 알의 개수를 조절한단다. 그냥 무조건 알을 낳는 것이 아니라 잎의 영양이 좋으면 그만큼 알을 많이 낳고 잎이 별로면 알을 적게 낳고 말이다. 그래야 알에서 깨어난 새끼(애벌레)들이 제대로, 잘 먹고 잘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식물의 꿀도 먹고 알도 낳고 그러면 훨씬 좋을 것이다. 하지만 애호랑나비는 족두리풀 꽃의 꿀을 먹지 않는다. 아니 이처럼 땅 가까이에 꽃을 피운 꽃들의 꿀은 먹지 못한다. 그런데도 애호랑나비는 왜 하필 족두리풀 잎에만 알을 낳을까? 애호랑나비 암컷은 족두리풀의 영양을 어떻게 판단해 알의 개수를 조절하는 걸까?
또한 호랑나비과에 속한 다른 애벌레들처럼 녀석들도 취각(호랑나비과 애벌레의 머리와 앞가슴 사이에 있는 뿔처럼 생긴 자루로서 자극을 받으면 몸 밖으로 튀어나와 냄새를 풍김)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험에 처하거나 천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지체 없이 머리와 앞가슴 사이에서 주홍색 취각을 내밀어 위협합니다. 특이한 것은 취각에서 독특한 냄새가 풍겨 나와 천적을 역겹게 만듭니다. 물론 그 냄새의 원료는 녀석들의 밥인 족두리풀에서 얻습니다. -책속에서족두리풀 잎은 매운맛이 난다. 갖은 동물과 곤충들로부터 몸을 보호하고자 족두리풀이 매운맛을 함유한 성분의 방어물질을 내뿜기 때문이다. 족두리풀 뿐이랴. 거의 대부분의 식물들이 족두리풀처럼 자신만의 방어물질을 가지고 있다. 애호랑나비가 족두리풀에 알을 낳는 것은 족두리풀의 방어물질에 적응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