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그림<불교 미술의 해학>
불광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란 영화가 있었다. 하도 오래 전에 본 영화라 줄거리도 가물가물한데 제목만은 선명하게 기억난다. 역사 수업 시간이나 절 답사 때 선종 이야기와 함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을 화두처럼 던져주고 답을 요구한 적이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불교 미술의 해학>을 읽으면서 '화두' 거리가 하나 더 생겼다. '미륵불이 결가부좌를 하지 않은 까닭은?'이 그것이다. 일반적인 불좌상의 경우 결가부좌를 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륵불상의 경우 의자에 앉아 있거나 쪼그려 앉아 있는 독특한 모습을 띠고 있다. 왜 그럴까?
미륵불은 미래 인간 세상에 내려올 부처를 일컫는다. 미륵불이 내려와 만드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물이 거울처럼 맑고 깨끗하며, 곡식이 풍족하고 인구가 번창하며, 사시 계절이 순조로워서 질병이 없고 사람들의 마음이 평화롭고 서로가 즐거워하는 이상적인 세상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사람들은 미륵불이 내려올 세상을 꿈꾸며 살아왔다. 권력의 횡포와 가진 자들의 부정이 난무하던 세상일수록, 가난한 이들이 자신의 정직한 노동으로 사람다운 생활을 보장받지 못했던 시대일수록, 미륵불에 대한 간절함이 더욱 강해졌다. 그런 흔적은 곳곳에 남아 있다. 미륵골, 미륵댕이, 미륵리, 미륵당, 미륵산, 미륵내, 그리고 수많은 미륵불상들….
마을과 산천의 이름에 미륵을 붙이고, 미륵불상을 조각해 세우면서 미륵 세상을 꿈꾸었다. 하루라도 빨리 미륵불이 세상에 내려와 힘겨운 자신들을 구원해주길 갈망했다. 기다리고 기다려도 미륵불은 올 기약조차 없었다. 조급한 마음을 달랠 길 없었던 사람들의 마음이 미륵불좌상의 모습에 반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