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회원들이 경주방폐장으로 방사성폐기물 반입을 반대하며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최지용
경북 경주 양북면 봉길리에 있는 경주 방폐장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작업복과 장갑, 각종 교체부품 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모아 처분하는 시설이다. 국내에는 현재 경북지역에 고리, 월성, 울진원전과 전남 영광원전 등 총 4개의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서 있다. 그동안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방폐물은 모두 각 원전에 있는 임시저장소에 보관돼 왔다.
경주 방폐장은 방사능 측정기와 엑스레이·초음파 검사기 등으로 방사능 농도 등을 확인하는 인수저장시설과 지하처분고가 있는 지하시설로 크게 구성돼 있다. 12월 현재 지상건물인 인수저장시설은 모두 완공됐지만 지하시설은 공정이 당초보다 30개월 가량 늦어져 2012년 연말에 준공될 예정이다.
지하시설의 준공까지 2년 동안 방폐물을 임시보관하게 된 인수저장시설은 외벽두께가 최대 82센티미터로 각 원전에 있는 임시저장소의 외벽두께가 30센티미터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더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지역 환경단체와 경주시의회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 50여 명은 방폐장 정문에 고속버스와 트럭을 세워놓고 폐기물 반입에 반대하는 기자회견과 시위를 잇달아 진행했다.
경주핵안전연대와 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에서 "인수저장시설의 원래 정식 명칭은 '인수검사시설'"이라며 "방사성폐기물을 분류하고 검사하는 장소이지 몇 년씩 넣어두고 보관할 목적으로 지어진 건물이 아니다, 장기간 방폐물을 저장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는 건물"라고 지적했다. 인수검사시설을 저장시설로 사용할 수 있게 승인한 것은 퇴임 직전에 있던 백상승 전 경주시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홍 경주환경운동연합 간사는 "방폐장 유치 이후에 경주시로 3000억의 국가지원금이 들어오게 되어 있는데 1500억은 유치와 동시에 나머지는 방폐장이 가동되면 받기로 했다"며 "지하암반이 약하고 지하수의 양이 많아 지하처분소의 건설 공정이 늦어지자 1500억 원을 빨리 받기 위해 위험한 허가를 내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간사는 또 "올해 공기업 평가에서 최하 점수를 받은 방사선폐기물관리공단이 실적을 올리기 위해 방폐물을 반입시킨 것"이라며 "임기가 끝나가는 민계홍 공단 이사장의 치적 쌓기"라고 지적했다.
두 단체는 이번 방폐물 반입뿐만 아니라 경주 방폐장 사업 전반에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성명서에서 "지하수가 하루 3000톤 이상 유출되고, 암반등급은 대부분이 4등급 이하여서 방사능 유출이 예측되고 있다"며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주 방폐장의 모든 설계와 시공은 원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