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 수복치아에 간 금이 더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치아를 삭제라고 금관으로 수복해 줘야한다.
일명 크라운이라 불려지는 술식이다.
이승훈
발치를 막고 환자의 불편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해당 치아는 근관 치료(신경 치료) 후 금속으로 수복(crown)해 줘야만 한다.
해결책이 있기는 하지만 크랙 치아(cracked tooth)야말로 의사와 환자 모두를 골탕 먹이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일단 진단이 매우 어렵다. 초기 골절(fracture)의 경우 현미경으로도 보일까 말까한 미세한 실금이기 때문에 치과의사가 육안으로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환자 역시 한 달 내지는 1주일에 한 번 정도로 증상을 느낄 정도이기 때문에 어떤 치아가 문제인지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진다.
환자는 "이 치아 같은데요"라고 주장하지만 신경 분지가 엄청나게 복잡한 구강 내 환경이므로 원인부 이에 주변부가 아플 가능성을 감안하면 정확히 어떤 치아가 문제인지 알기가 어렵다.
근관 치료 후 금속으로 씌운 후에도 해당 증상이 계속 나타났다면 아무 문제 없는 치아의 치수를 제거하고 치질을 삭제한 셈이고 환자는 자연 치질의 손상과 치료 과정에서의 시간 손해 거기에 비싼 보철 시술에 따른 진료비 부담까지 생기게 된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치과의사들은 '좀 더 써 보다가 증상의 빈도가 조금 더 반복되면 오기'를 권한다. 즉 완전히 부러져 나가지는 않고 아픈 증상은 확실한 그 정도까지 금이 커지기를 기다리는 셈이다.
다음으로 근관 치료 후 금속으로 수복한다 하더라도 그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치아는 장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계속해서 어마 어마한 저작력을 견뎌야만 한다. 하지만 수복을 했다 하더라도 여러 방향에서 힘이 전달된다면 금은 계속해서 커질 가능성이 많다. 유리로 된 문에 금이 갔을 때 해당 부위를 테이프로 보강한다고 해도 결국은 금이 점점 더 커지는 것과 비슷하게 보면 되겠다.
마지막으로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크랙 치아(cracked tooth)는 치과의사를 정말로 난감하게 한다. 충치 치료, 근관 치료, 스켈링 등의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의 진료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치아의 실금이 나타나면 환자들은 대부분 치과의사가 치료하다가 이를 부러뜨린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일이 터지기 전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하는 사전 설명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일이 터진 다음에 '원래 이렇게 되기도 합니다' 하는 식의 사후 설명은 변명에 급급한 모습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치아 하나 하나 치료할 때마다 '이 치아 실금이 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고 설명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의사 입장에서는 참 난감하기 짝이 없는 상황이다.
진료 시에 있을지 모르는 돌발 상황을 다 설명하다 보면 '진료 중에 운석이 떨어져서 죽을 수도 있습니다'까지 동의를 얻어야 할지 모른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진단도 어렵고 치료도 어렵고 예후도 안 좋은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