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안도현"시에 공식이 있고, 정해진 소재가 있습니까?"
박병춘
지난 6월 2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가 조합원 자율 연수의 일환으로 시인 안도현을 초청해 '시와 창의성'이란 주제로 특강을 펼쳤다. 교사, 학생 등 약 2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안 시인은 과거 교직 시절 일화와 시창작 과정을 곁들여 재미있게 이야기를 풀어내 청중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수업 시간에 선생님과 함께 배운 시는 잊어라. 대신에 그 시인의 다른 작품 10편을 찾아 읽어라. 시를 공부하듯이 대하지 말고 무조건 많이 그냥 읽어라. 비유, 은유, 상징, 내포적 의미 따위에 연연하지 말라. 대충 읽어도 좋다. 무조건 많이 읽어라. 그것이 시랑 친해지는 법이다."
강의실 앞쪽에 앉은 고교생들을 의식한 듯 안 시인은 시에 공식이 있거나 정해진 소재가 없음을 강조하며 무조건 많이 읽고 쓰라고 강조한다.
시를 쓰고 읽는 궁극적 목표는 창의성 계발이라고 본다는 안 시인은 "창의성 교육이 교육 정책에만 있고, 실제 프로그램은 전무하다시피 하다. 수사법, 비유, 상징 등에 연연하다 보니 제대로 시 감상이 안 되고 창의적 사고를 방해하는 느낌이 든다"며 '시와 창의성'을 주제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며 강의를 이어갔다.
'가을!' 하면 떠오르는 말은 무엇일까요? 안 시인이 청중을 향해 묻는다. '낙엽, 단풍, 코스모스, 귀뚜라미, 황금들녘' 등 다양한 대답을 유도해 낸 안 시인은 "시에 공식이 있고, 정해진 소재가 있습니까?"라고 되물으며, "그러한 것들이 가을을 구성하는 중요한 소재이긴 하지만, 나만의 눈으로 바라보지 않으면 나만의 작품을 쓸 수 없다"며 창의성을 강조한다.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의태어나 의성어는 무엇일까?
토끼는 ( ) 걷는다, 매미는 ( ) 운다, 귀뚜라미는 ( ) 운다. 당연히 '깡충깡충', '맴맴', '귀뚤귀뚤'이 정답이다. 바로 이게 어른에게 아이들이 주입받은 고정관념이라는 것인데, 토끼가 (엉금엉금) 걷고, 매미는 (여름여름여름) 울고, 귀뚜라미는 (가을가을가을) 운다고 표현하면 안 되는 것이냐며 안 시인은 개념적 사고를 경계했다.
이어서 안 시인은 초등학생이 쓴 동시 '내 자지'와 '엄마의 런닝구', 복효근 시인이 쓴 '목련꽃 브라자'를 예로 들어 시어가 지닌 순수성을 강조하고, 학교 현장에서 주제를 판서하며 고정관념화하는 오류를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