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 '꿈꿔라 청춘아'
한국방송광고공사
'박지성은 평발이었다.' '강수진은 연습벌레였다.' '안철수는 평범한 의대생이었다.' 강렬한 사운드, 비보이의 역동적인 춤, 다양한 분야에서 열심히 일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이 차례로 등장하고 "네 꿈을 펼쳐"라는 외침이 들린다. "꿈꿔라! 청춘아, 힘내라! 청춘아, 너희의 꿈을 활짝 펼쳐라!" 노래가 울려 퍼진다. '공익광고협의회' 일곱 글자를 보며 자문한다. '나는 뭐하고 있는 거지?'
'공익광고협의회' 광고는 젊은이의 꿈을 강조하지만 국가 스스로는 청년실업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할 생각이 없음을 드러낸다. 모든 젊은이들은 의지에 따라 무보수 노동의 배고픈 시간을 보내고 나면 유명한 예술가, '대박'을 터뜨릴 사장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윤형, 최태섭, 김정근이 쓴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는 '네가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부추기면서 꿈을 이루고자 달려드는 청년들을 교묘하게 착취하는 현실을 담았다.
저자들은 외환 위기와, 무한 경쟁을 핵심으로 하는 신자유주의 시대를 거치며 "세계화를 맞아 진취적인 도전 정신으로 가득 찬 인재가 필요하다"는 명령이 더 공고해졌다고 말한다. 곧 실업은 전적으로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여겨지면서 자신의 열정과 능력이 부족해 취업을 못하게 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이삼십 대를 겨냥한 자기계발서의 인기는 우연이 아니다.
지난 3월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은 60%였다. 더 심각한 것은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 비율이 54.7%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결국 안정된 직장에 취업하는 것만이 지상과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스펙' 쌓기에 목숨을 거는 현실은 당연한 결과다. 반면,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한' 자기 계발은 스펙 쌓기와 다른 것을 요구한다.
"근로계약서 써본 적 없어요"...열정노동자의 현실 바로 '열정 노동'이다.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라는 말은 이전보다 더한 성실함과 근면함을 요구했고 열악한 조건도 '좋아하는 일을 하려면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저자는 "혹여 불만이라도 토로하는 사람은, 이 일에 대한 열정이 부족한 것에 대하여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 했다"고 말한다.
'열정 노동'은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 이 일에 열정이 있으며 → 생계를 위해 일하는 노동자가 아니므로 → 나에겐 노동자의 권리가 필요없다'로 진술할 수 있다. '네가 하는 일은 노동이 아니'라는 속삭임,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해도 끊임없이 스스로를 채찍질 하는' 노력은 열정이란 이름으로 노동자의 권리를 지워내고 착취만 남은 기형적인 노동구조를 양산했다.
<무릎팍 도사>나 <강심장> 같은 토크쇼에 나오는 출연자들은 세상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를 회상하며 고생한 경험을 털어놓는다. 눈물을 쏟는 가운데 사회자는 '열정을 불살랐던 시간이 있었기에 지금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다'며 훈훈한 마무리로 열정은 치켜세운다. 열정은 어느새 젊은이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태도가 되었다. 최고에 올라선 다음에도, 젊은이에게 필요한 건 더 강도 높은 열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