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신천군 사건'을 소재로 한 황석영의 손님
박창우
본격적인 책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손님>의 소재가 된 '신천군 사건'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겠는데요. 지금까지도 남과 북에서는 '신천군 사건'을 다르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북에서는 미군측의 양민 학살이라 주장하고 있으며, 남에서는 반공투쟁 사건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황석영 작가의 경우에는 '기독교 우파와 사회주의 좌파 간의 대립과 대결이 폭력으로 악화된 사상대립에 따른 사건'이라고 해석하는 듯 보입니다.
참고로, 2002년 4월에 방영된 MBC<이제는 말할 수 있다-망각의 전쟁편>에 따르면, 이 사건은 '좌우 대립의 결과'에 손을 들어주고 있는데요. 작품을 만든 조준묵 피디는 "당시 미군은 평양을 선점하려는 경쟁이 붙어 신천에 오랫동안 머물지 않았다"며 "'미군 주도 주장'을 확증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진실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겠지만, 확실한 것은 우리 민족끼리 서로를 죽이고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 주체가 된 것은 기독교인과 사회주의자들이었습니다. 물론 그들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기독교인과 사회주의자들은 아니었습니다. 책 전체를 아우르는 키워드, '손님'은 그래서 더욱 의미가 깊어집니다.
그들은 서로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서로가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은, 신을 믿지 않는 사탄이요, 악마일 뿐이었고, 인민이기를 거부하며 외래 신을 떠받드는 '예수쟁이'일 뿐이었습니다. 그들이 비록 나와 함께 구원받아야 할 대상임에도, 함께 평등을 누려야 할 같은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에게 총이 주어진 순간 살육만이 있을 뿐이었습니다.
힘이 주어지면 그 힘은 언제나 자신에게 주어진 힘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그 힘을 조금 더 의미있고 생산적인 일에 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같은 의미에서 권력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힘의 존속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자신의 힘에 도전하는 혹은 도전할 가능성이 있는 존재를 제거하는 일입이다. 복수를 잉태시키는 원인이지요. '우리'가 '적'이 되는 순간은 찰나였습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작가는 '화해'와 '용서'의 길로 나서는 법을 제시합니다. 책 속의 주인공 요섭 목사는 죽음을 앞두고 고향에 찾아가 당시의 진실을 추적해 나가는데요. 이제는 혼령이 되어버린 당시 마을사람들과 마주하며(소설적 장치) 과거를 회상합니다. 또 당시에는 알지 못했던 사실, 당시에는 듣지 못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에도 귀를 기울입니다. 귀신(당시 죽었던 마을사람)을 한데 모아 푸닥거리하는 것은 곧 서로에게 총칼을 들었던 마을 사람 간의 화해이자, 종교와 이념의 화합으로까지 해석 가능합니다.
특히, 요한의 형수가 말하는 대목이야 말로 두 손님(기독교, 사회주의)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에 생각해보게끔 합니다.
내 평생을 생각해봤디. 모던 것이 다 사람덜 좋게 할라구 나왔넌데 어째 기렇게 서로 미워했을꼬 말이오. <손님> 中종교든, 이념이든, 혹은 학문이든 예술이든 문화든…. 결국은 사람을 위해, 더 나은 삶을 위해 나타난 것들 아니겠습니까. 사람에 대한 가치를 소홀히 한다면, '손님'에 의한 비극은 언제든지 되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제 개인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손님
황석영 지음,
창비, 2001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