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 삼매경.
고은아
조지아 주의 찌는 듯한 여름이 다 지나고 화창한 가을 날씨가 기분 좋게 느껴지던 지난 토요일(9월 24일) 오후, 나는 6학년짜리 딸과 1학년짜리 아들을 대동하고 애틀랜타 시내에 있는 에모리대 캠퍼스를 찾았다. 캠퍼스 동쪽 끝에 있는 기숙사 18층 펜트하우스에 올라가 아래를 내려다 보니 숲과 호수로 뒤덮인 대학교 풍경이 근사하다.
한국계 입양아들에게 멘토를
이날은 케임(KAME, Korean Adoptee Mentorship Program at Emory)이 올해 첫 월례 행사를 여는 날이었다. 에모리대 학부생들이 가까운 지역에 사는 한국계 입양아들과 일대일로 만나 한국 문화도 전하고 닮은 얼굴의 롤모델도 되어 주기 위해 2009년에 시작된 케임은 현재 12명의 대학생 멘토가 11명의 입양아 멘티와 결연하고 있다.
회장과 부회장을 포함해 총 13명이 활동하고 있고 두세 명 더 멤버를 보충하기 위해 요즘 지원서를 받고 있다. 한국어와 영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하는 조건 때문에 한국에서 유학 온 학생들이 대부분이지만 한국어가 유창한 교포 학생도 몇 명 있다. 이번 학기 새로 회장이 된 최지원씨도 그중 하나다.
이번 행사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리까지 다섯 가족. 여느 때와 비슷한 규모다. 예빈과 트레이 남매, 애쉬튼과 스텔라 남매, 브리젯, 그리고 올해 처음 참가한다는 톨랜드까지 모두 8명의 아이들과 6명의 부모들, 11명의 케임 멤버가 모였다.
열 살짜리 내 딸아이를 빼면 다섯 살부터 여덟 살까지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행사장으로 뛰어 들어오기가 무섭게 대학생들과 뒤엉켜 한바탕 소란스럽다. 2~3년째 얼굴을 봐온 사이인지라 스스럼이 없다.
이 개구쟁이들을 데리고 이날의 주제인 '한국의 서예'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이 시작됐다. 문방사우를 비롯해 각종 시각 자료를 설명하는 동안 테이블 위에 깔아 놓은 신문지를 찢으며 장난을 치던 아이들이 실습이 시작되자 진지해졌다. 종이와 붓을 받아 들고 검정 먹물을 찍어 한 글자, 한 글자 써내려 간다. 언니, 오빠, 형, 누나의 도움을 받아 자기 한글 이름도 써 보고 영어 이름도 한글로 써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