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류지천, 4대강을 위한 꼼수다.이 시점에서 중요한것은 4대강사업의 후속 지류지천사업이 아니고 4대강사업에 대한 냉정한 평가입니다.
안철
4대강으로 홍수피해 못 막았다4대강의 홍수피해는 2007년 이후에 들어와서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정부는 4대강사업을 강행했다. 우리나라는 특성상 태풍이 왔을 때 피해가 급증한다. 대부분이 수해가 아니라 풍해로, 태풍의 강력한 바람으로 일어난 피해이다. 수해피해는 지방하천과 소하천에서 대부분 발생했고, 본류의 피해는 보고된 것이 거의 없다.
4대강사업이 거의 완료된 올 여름, 안전했던 4대강은 대규모 준설로 위태위태해졌다. 낙동강 왜관철교와 남지철교 붕괴 또는 붕괴위기로 본류가 불안전했다.
정부는 홍수피해가 예년에 비해 1/10로 줄어들었다고 밝히고 있지만 박창근 관동대 교수(경남도 낙동강특위 위원장 / 시민환경연구소 소장)는 "2011년 1055억의 피해가 났고, 복구액으로 2000억 원 이상 소요됐다"고 밝히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전국을 계산해보면, 최소 1조 원 이상의 피해가 났을 것으로 예측된다.
역행침식과 홍수피해로 본류의 피해가 얼마나 심각했는지, 경북도는 4050억 원을 정부에 긴급 요청했다. 역행침식으로 인한 하상유지공 설치가 시급하고 낙동강 사업으로 인한 지방하천 개수 계쇡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북도가 신청한 4050억 원은 국가하천이 아닌 경북도가 관리하는 지방하천이다. 지방하천을 비롯한 국가하천 하상이 안정을 찾지 못해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모두 4대강 사업의 과도한 준설이 일으킨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