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비평가로 활약하는 이택광 교수.
윤지원
문화비평가로 활약하는 이택광 경희대 교수는 '자기 목소리'가 사라진 한국 사회를 비판하면서 강의 주제인 '대중의 시대란 무엇인가'에 접근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 사회는 '근대'를 제대로 경험해 보지 못한 상태에서 '탈근대'에 들어섰다.
'자유'에 대한 담론도 마찬가지다. 자유주의의 본질은 전체주의와 권력뿐 아니라 시장을 포함한 모든 이데올로기에 저항해 진정한 자유를 획득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분단 현실 때문에 진정한 자유주의가 뿌리내리지도 못한 채 신자유주의를 맞았다. 국민들이 자유가 무엇인지 인식하기도 전에 새로운 시대로 진입해버린 것이다. 이 교수는 이런 한국의 자유주의를 '절름발이 자유주의'라고 표현했다.
그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안철수 열풍' 또한 아직도 자유주의가 뿌리내리지 않아 생긴 바람으로 설명했다. 진정한 자유가 발전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국민들은 주체성과 주권 없이 타자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별 볼 일 없는 정치인들과 사회구조 속에서 방황하다 안철수라는 탁월한 대리인을 발견한 것이다. 이제까지 나온 어떤 인물과 달리 의지할만한 새로운 인물이 나타나자 국민들은 그를 폭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는 이런 모습을 '대중의 시대'라는 커다란 흐름 속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명품 백 사려고 장학금 신청그가 말하는 대중의 시대란 무엇일까? 바로 '문화'가 다른 경제학, 법학, 자연과학과 같은 순수학문을 압도하는 시대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학문의 법칙보다 감성적이고 문화적인 요소가 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일어난 정전사태에 대한 대응책은 순수학문 법칙에 따르면 전기를 아껴 쓰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전기소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당위적인 순수학문이 더 이상 먹혀들지 않는 것이다. 그는 이해하기 쉽게 한 가지 예를 더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