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워크> 표지
느린걸음
"노동을 하지 않으면 삶은 부패한다. 그러나 영혼 없는 노동을 하면 삶은 질식되어 죽어간다." - <굿 워크> 본문 19쪽알베르 카뮈의 이 말이 나를 사로잡았다. 노동을 하는데 영혼이 있어야 한다는 이 멋진 말에서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1936)가 떠올랐다. <모던 타임즈>는 1930년대 산업사회 속에서 기계화되어 가는 인간과 물질문명에 대한 신랄한 풍자가 코미디로 묘사된 영화다.
영화 속에서 찰리 채플린은 온종일 컨베이어 벨트라인에 서서 지극히 단순한 나사 조이는 일을 한다. 거기에는 인간적이거나 창조적인 일체의 행위가 허용되지 않는다. 그저 기계처럼 아무 생각 없이 단순하게 움직이면 된다. 결국 찰리는 카뮈의 말처럼 '영혼 없는 노동'으로 인해 강박증에 사로잡히게 되고 정신병원에까지 간다.
이른바 포드주의로 상징되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인간은 <모던 타임즈>에 표현된 것처럼 오로지 생산성과 능률성 향상이라는 목표를 위해 공장에 돌아가는 기계의 부품처럼 취급되어 왔다. 개성은 무시되었다. 그리고 결국 인간이 개발하고 발전시킨 기계에 인간이 끌려 다닐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굿 워크>의 저자 E. F. 슈마허가 천착한 문제는 이처럼 '무한한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현대 산업주의 체제 하에서 행해지는 비인간적인 노동, 파괴되는 자연과 자원고갈, 기계에의 종속과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것이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고 한 실천적 사상가스물두 살의 나이에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교수가 된 뛰어난 경제학자이자 실천적 사상가였던 슈마허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문장을 통해 현대의 기술과 물질주의에 근원적 회의감을 던지며, 인류문명에게 '생각의 대전환'을 촉구했다.
<굿 워크>는 슈마허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뜬 1977년 미국 대륙을 횡단하며 펼친 강연내용을 묶은 책이다. 여기에는 현대 기술문명과 산업사회를 비판하며 좋은 노동과 좋은 교육에 천착했던 슈마허의 사상적 성찰과 이를 위한 실천적 탐구가 담겨 있다.
"자연에서는 세포 하나가 계속해서 커지지 않습니다. 성장의 필요성이 생기면 분열하여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냅니다." - 본문 134쪽
그러나 인간사회는 예외다. 현대 산업사회의 특징 중 하나는 무한성장에 대한 안타까울 정도의 간절한 희구다. 풍선에 바람을 불어넣으면 조그맣던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그러나 이것을 보고 좋아서 바람을 계속 불어 넣는다고 풍선이 무한히 커지지는 않는다. 결국은 더 커지는 것이 아니라 터지고 만다. 풍선과 마찬가지로 슈마허는 현대 산업사회가 끝없는 성장을 목표로 추구하기에 파국이 멀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것은 기술을 바탕으로 한 산업사회가 갖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 때문이다. 슈마허는 현대 산업사회의 문제점을 네 가지로 지적하는데, 그것은 모든 것이 점점 더 커지고, 더 복잡해지며, 더 자본집약적이고, 더 폭력적이 된다는 것이다.
이른바 규모의 경제학이 모든 것에서 '더 크게'를 외치고 있다. 동네 구멍가게는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 수퍼마켓에 밀려 더 이상 설 자리를 잃은 지 오래다. 심지어 두부, 콩나물마저도 대기업이 판다.
'산업사회'라는 풍선은 계속 커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