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손해보험사 자동차보험 마일리지 특약 할인율 비교
김시연
과거 주행거리 많으면 선할인 제한... 특약 추가는 허용 "고객님 차량은 연평균 1만4000km 이상 뛰셨기 때문에 선할인 가입은 안돼요."그래도 기왕이면 선할인을 받으려고 했더니 출발부터 암초에 부딪혔다. 선할인 방식만 도입한 악사다이렉트를 제외한 대부분 보험사들은 현재 계기판에 표시된 총 주행거리를 토대로 연 평균 7000~9000km를 초과하면 아예 선할인을 해주지 않았다. 한화의 경우 3000km 이하 선할인을 받으려면 과거 연평균 주행거리가 3000km 이하여야 했다. 보험사로선 나름 안전장치겠지만 중고차를 구입했거나 최근 주행거리가 크게 줄어든 운전자들은 어쩔 수 없이 후할인으로 가입해야 한다.
마일리지 특약의 가장 큰 걸림돌은 연간 주행거리 확인 방식이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차량에 운행정보 확인장치(OBD)를 다는 것이다. 메리츠화재의 경우 3만~5만 원 정도인 OBD를 무료로 달아주기도 하지만 매일 주행 상황을 감시받는다는 것도 썩 내키는 일은 아니다. 보험료를 최대 8.7% 할인해주는 요일제 자동차보험(특약)이 활성화되지 못한 것도 바로 OBD 의무화 때문이다.
이에 보험사들은 마일리지 특약에 사진 실사 방식을 처음 도입했다. 보험 가입 후 가입자가 직접 차량 계기판과 신분증, 차량번호 사진을 찍어 보험사로 보내 최초 주행거리를 통보한 뒤 1년 뒤 보험사에서 지정한 카센터를 방문해 최종 확인하는 방식이다. 계기판이나 사진 조작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지만 매년 갱신 때마다 카센터에서 실측하는 걸 감안하면 도덕적 해이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OBD를 달더라도 사진 실사보다 1~2%포인트 추가 할인이 고작이고 일부 보험사는 아예 OBD 할인이 없다. 결국 이미 OBD를 장착한 요일제 특약 가입자들이 주로 이용할 텐데 정작 마일리지 특약과 중복 가입은 안 된다. 유일하게 중복 가입을 허용하는 메리츠화재조차 할인율 중복 적용은 안 되기 때문에 최대 할인율은 13.2%를 넘지 못한다.
보험사들이 마일리지 특약 도입을 차일피일 미루는 바람에 가입 시점을 놓쳤다고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 보험사들은 기존 계약자들도 보험가입기간이 3개월 이상 남았을 경우 후할인 방식으로 마일리지 특약 추가 가입을 허용하고 있다. 이때 마일리지 거리와 할인 금액은 남은 기간에 따라 일할 계산된다. 다만 후할인 방식이 없는 악사다이렉트는 특약 추가 가입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7000km 안 타는 승용차 26%... 마일리지 특약은 필수당장 보험료 할인만큼 수입이 줄기 때문에 보험사들로선 마일리지 특약 도입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가입자들의 주행거리가 줄면 그만큼 사고 가능성도 줄어 손해율(보험료 대비 지급보험금)이 낮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난 16일 마일리지 특약을 가장 먼저 도입한 악사다이렉트 관계자는 "통계적으로 주행거리가 적은 사람일수록 사고가 적게 나기 때문에 당장은 손해여도 마일리지를 의식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 늘면 손해율이 낮아지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와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2009년 말 현재 승용차 한 대당 연평균 주행거리는 1만3000km 정도지만 매년 줄어드는 추세다. 또 연간 주행거리가 7000㎞ 이하인 차량도 전체 개인 승용차 1353만 대 가운데 26.3%인 356만 대에 이른다. 운전자 1인당 평균 자동차 보험료가 70만 원 정도인 걸 감안하면 이들 상당수가 7만 원 정도는 아낄 수 있다는 얘기다.
고유가 시대 승용차 이용 줄이기가 보편화된 요즘 마일리지 자동차보험도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앞으로 마일리지 특약을 활성화시키려면 보험료 할인율을 점차 높이는 한편 가입 대상도 7000km 이하에서 점차 넓힐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마일리지 특약이 자동차 보험료 인상 구실로 작용하거나 특약 미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할증으로 이어지는 일 만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2000km 타나 2만 타나 똑같은 차보험은 끝!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