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가명·48)씨는 지난 11월 11일 이후 40일 넘게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로에서 노숙을 하고 있다. 그는 "재개발조합에 의해 가게가 강제 철거됐다, 생계가 유지될 수 있는 대책이 나올 때까지 떠나지 않겠다"고 전했다. 사진은 22일 오후 이씨가 지내고 있는 천막 내부 모습이다.
선대식
이상원(가명·48)씨는 노숙을 한다. 영하 10도의 혹한에도 길바닥을 떠나지 않는다. 바닥 위에 나무 합판과 스티로폼을 얹었고 여기에 이불 몇 장 깔았다. 그 위에 올라앉은 이씨는 러닝셔츠 2벌, 내복, 두꺼운 티셔츠, 트레이닝복, 점퍼를 껴입었지만 냉기를 쫓을 수 없다.
그는 "그나마 낮에는 괜찮다"고 했다. 비닐 천막이 칼바람을 어느 정도 막아주고, 햇볕을 들인다. 천막 안에는 가스 히터도 있다. 문제는 밤이다. 산소 부족과 화재 위험 탓에 히터를 밤새 켜놓을 수 없다. 새벽녘엔 너무 추워 잠을 이룰 수 없다. 이씨는 "밤새 몸이 떨려 어깨가 아플 지경"이라고 전했다.
이씨가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로에 있는 철거 중인 건물 앞에서 농성을 시작한 것은 지난 11월 11일이다. 비닐 천막의 한쪽은 건물에 맞닿아 있다. 이씨는 "내 가게가 있던 곳"이라며 "아내가 강제 철거에 맞서 가게를 지키던 중 굴착기에 의해 사고를 당한 후 노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9년 1월 일어난 '용산 참사'로 이후 재개발·뉴타운 사업 지역에서 상가세입자가 쫓겨나는 일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졌다.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앞의 칼국수 집 '두리반'은 철거 위기에 맞서 농성을 한 지 531일 만인 지난 1일 재개업했다. 이로써 상가세입자 문제는 전환을 맞는 듯했다.
하지만 이씨는 한겨울 40일 넘게 길바닥에서 노숙을 하고 있다. 재개발 조합은 그를 외면하고 있다. 서울시나 서대문구의 역할에도 한계가 있다. 22일 오후 이씨를 만났다. 그를 만난 북아현 뉴타운 1-3구역인 북아현로 주변은 철거가 한창이었다.
악착같이 일해 재기에 성공했지만, 재개발로 모두 빼앗겨고향이 경상도인 이씨가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온 것은 2006년 3월의 일이다. 고향에서 장어구이집을 열었지만 금방 망했다. 다시 시작하고자 아내의 고향으로 삶터를 옮겼다. 처가에 손을 벌리고 빚을 내 33㎡짜리 곱창집을 열었다. 주변 상가 임대료의 60% 수준인 월세 70만 원(보증금 1500만 원)의 허름한 곳이었다. 여기에 적지 않은 권리금을 냈다.
"성공하기 위해 악착같이 일했다. 아이들을 장모님한테 맡기고 아내와 둘이서 일했다. 1년에 며칠 쉬지도 못했다. 보통 오후 3시부터 이튿날 오전 3시까지 일했다. 손님이 1명이라도 남으면 계속 기다려야 했다. 동틀 무렵에 집으로 돌아간 적도 많았다." 그렇게 몇 년이 지나자 단골이 생기기 시작했다. 빚을 내 7000만 원을 들여 인테리어 시설을 설치하기도 했다. 그 결과, 20만 원 수준이었던 하루 매상은 2009년에는 60만~70만 원으로 크게 늘었다.
이씨는 시나브로 가난에서 벗어났다. 가게를 하면서 빚진 돈 대부분을 갚았다. 또한 북아현동에 첫발을 디뎠을 때 살던 40㎡짜리 반지하 셋방에서 벗어나 2층 전셋방으로 이사할 수 있었다. 이씨는 "정직하게 열심히 사는 사람이 대우 받는 사회"라고 믿었다.
하지만 2010년 3월 북아현 뉴타운 1-3구역에 대한 관리처분계획 인가가 떨어져 사업이 확정되면서, 이씨 가족의 삶은 어그러졌다.
곧 가게에 대한 감정평가서가 도착했다. 4개월 치 휴업보상금 2480만 원이 전부였다. 이씨는 "엉터리로 보상금을 책정했다, 그동안 악착같이 일하며 상권을 키우고 단골을 많이 만들었다"며 "이 보상금으로는 이전과 같은 수준의 곱창집을 열 수가 없다, 너무 억울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