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제57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 현충탑에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이런 인식은 사실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2002년 7월 22일 열린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당시 이준 국방부장관은 "합참의 작전예규는 연평해전 이전이나 이후에도 교전규칙의 기본정신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 햇볕정책이나 대통령의 4대 교전수칙과는 무관하다"고 답변했다.
최근 국방부 관계자도 기자에게 "교전규칙은 연합사(한미연합사령부)에서 정전상황을 유지하기 위해 만든 군사적 행동규칙"이라고 설명하며 "1997년 10월 작성된 이후 '선제공격 불가'를 명시한 것은 이명박 정부에서도 마찬가지인데도 제2연평해전 때는 선제공격을 못해서 패전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제2연평해전이 잘못된 햇볕정책 때문에 필연적으로 벌어진 일이라면 이 정책을 계승한 참여정부 시절에는 서해상에서 남북 군사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점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오히려 경계임무를 수행 중이던 해군 초계함이 침몰하고 휴전 후 최초로 우리 영토에 포탄이 떨어져 민간인과 해병대원이 사망하는 비극이 일어난 것은 북을 압박해 못된 버릇을 고치겠다며 햇볕정책을 폐기한 이명박 정부 아래서 벌어진 일이 아니었는가.
제2연평해전 당시 작전 실패의 책임자로 지목되던 합참 작전본부장을 초대 국방장관으로 앉힌 사람도 바로 이 대통령 자신이다. 대북강경책을 선택했으면서도 정작 국방예산 증가 억제정책을 택했던 것도 바로 이 정부였다.
천안함과 연평도 포격 도발도 햇볕정책 탓?
연평도에 북한의 포탄이 떨어지던 그 시점에 청와대에서는 "확전이 되지 않도록 대처하라"는 메시지가 나왔다. 천안함 사건 당시 다짐했던 '강력한 응징'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모든 책임을 햇볕정책 탓으로 돌렸다. 이런 점에서 대통령과 보수언론의 현실인식은 판박이다.
연평도 포격 도발 직후인 2010년 11월 29일 이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지난 20여 년간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며 "그러나 우리에게 돌아온 것은 핵개발과 천안함 폭침에 이은 연평도 포격"이라며 북한 도발의 모든 책임을 '햇볕정책'으로 돌렸다.
이 대통령은 또 "그동안 북한 정권을 옹호해 온 사람들도 이제 북의 진면모를 깨닫게 되었을 것"이라며, '햇볕정책'을 지지하는 국민들을 졸지에 '북한정권 옹호자'로 만들어버렸다. 자신에게 쏟아지는 '안보무능' 비판을 이미 폐기된 것이나 다름없는 '햇볕정책' 책임으로 치환시켜버린 것이야 말로 정략적이고 무책임한 일이라는 비판에도 이 대통령은 아랑곳 하지 않았다.
제2연평해전 10주년, 대통령의 메시지가 우려스럽다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제2연평해전 기념식에 참석한다. 이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제2연평해전 전적지를 참배하고 기념식이 끝난 뒤에는 전사자 6명의 이름을 딴 고속함들을 순시하면서 전사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들을 위로할 예정이다. 최근 종북 논란에 대한 이 대통령의 발언 등으로 비춰볼 때 한층 강한 안보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임기 마지막 해 대선을 앞두고 이 대통령이 쏟아낼 메시지는, 반세기 넘게 시대착오적 냉전논리를 여전히 조자룡의 헌 칼처럼 휘두르는 외눈박이 보수언론들의 행태로 볼 때 우려스럽다.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지만 그것이 정략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라면 소모적인 논쟁이 되기 십상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