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의 '견마의 충성' 혈서일본에 ‘견마(犬馬)의 충성’과 ‘한 번 죽음으로써 충성’(一死以テ御奉公)을 하겠다는 박정희의 혈서는 당시 <만주신문>(1939년 3월 31일)에 ‘혈서 군관 지원 - 반도의 젊은 훈도로부터’라는 제목으로 보도되었다. 왼쪽은 황군 장교 시절의 박정희.
일본에 '견마(犬馬)의 충성'과 '한 번 죽음으로써 충성'(一死以テ御奉公)을 하겠다는 박정희의 혈서는 당시 <만주신문>(1939년 3월 31일)에도 '혈서 군관 지원- 반도의 젊은 훈도로부터'라는 제목으로 보도되었는데 "29일 치안부 군정사에 조선 경상북도 문경서부공립소학교 훈도 박정희군(23)이 죽음으로써 봉공하겠다는 혈서가 왔다"고 소개하고 있다.
당시 군관학교 입학 자격이 16~19세였던 것에 비추어 23살이었던 박정희가 입학할 수 있었던 것은 '견마의 충성 혈서' 덕분이었다. 그리고 어렵게 입학허가를 얻은 박정희는 일본의 기대에 부응해 만주군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해 일본 육사에 3학년으로 편입해 일본 육사를 졸업하고 황군 소위로 임관해 군복을 입고 금의환향하게 된 것이다. 여제자 이순희씨는 당시의 광경을 이렇게 증언했다.
"박 선생님이 만주로 떠난 지 3~4년이 지난 어느 여름방학 때 긴 칼을 차고 문경에 오셔서 십자거리(문경보통학교 아래에 있는 네거리)에 계신다는 얘기를 듣고 달려갔지요…(중략)… 박 선생님은 방에 들어가자마자 문턱에 그 긴 칼을 꽂고는 무릎을 꿇고 앉아서 '군수, 서장, 교장을 불러와라'고 하시더군요. 그때 세 사람 모두 박 선생님 앞에 와서 '용서해 달라'고 했습니다. 아마 박 선생님을 교사 시절 괴롭혔던 걸 사과하는 것 같았습니다."(정운현, <실록 군인 박정희>)사쿠라를 좋아한 박정희의 성취와 향수군수·서장·교장은 각각 지방의 행정·치안·교육을 관장한 기관장이다. 황군 장교는 그런 기관장들을 사사로이 불러 모을 만큼 일본 군국주의 통치의 핵심세력이었다. 군국주의 황군 장교로서 박정희의 성취와 그에 대한 향수는 국군 장교 시절은 물론 대통령이 되어서도 두 가지 '코드'로 나타난다. 벚꽃과 일본군 장교복에 대한 '코스프레'가 그것이다.
만주군관학교 졸업생 답사에서 "나는 대동아 공영권을 이룩하기 위한 성전에서 목숨을 바쳐 사쿠라와 같이 훌륭하게 죽겠습니다"라고 맹세한 박정희는 실제로도 벚꽃을 무척 좋아했다. 또한 대통령이 되어서는 해방후 이승만 정권 시절에 베어져 나간 벚꽃을 부활시키고 진해, 서울 강변북로에 "벚꽃을 심으라"고 직접 지시했다.
또 서울시 기획관리실장을 지낸 손정목 서울시립대 교수에 따르면, 여의도 개발은 전적으로 박 대통령의 뜻대로 이뤄졌고, 국회 주변의 조경도 박 대통령이 직접 신경 썼다. 미국 워싱턴 포토맥 강변의 벚꽃 거리를 본떠 국회가 있는 여의도 윤중제에 벚꽃을 심은 것은 박정희 취향이 반영된 '몰역사적인 결정'이었다는 것이 한일 100년사에 묻힌 '벚꽃의 비밀'을 추적한 류순열 기자의 결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