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영전강 채용 현황을 보았을 때 2009년에 채용된 중등 영전강 중 이직인원을 빼고 약 50% 정도가 계약만료 대상으로 추정된다. 제도 문제와 별개로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신은희
이렇게 정책이 졸속으로 진행되어도 영전강 관련 예산이 교과부 장관이 따로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이라 국회는 손을 댈 수 없다고 한다. 아무리 장관 재량이라고 해도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하는 제도인데 최소한의 절차조차 무시하는 상황이다.
영전강 제도 문제, 담당 교사는 업무 폭증... 강사는 고용불안 교과부는 영전강 제도가 실용영어중심 영어공교육 강화 때문에 채용되었고, 수업시수와 영어 관련 업무를 지원한다고 한다. 그런데 학교 입장에서 보면 수업시수가 감축됐을지 모르나, 담당 교사 업무는 더 늘어났다.
초등학교 영어 수업시수 확대 및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확대에 따라 추가되는 수업을 분담하며, 영어교육 관련 업무 및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관리 업무 등을 추가적으로 담당·지원하도록 함.(영어회화전문강사편람- 제도운영 방향)담당교사들은 기본적으로 고유 업무에 영전강 채용과 복무관리, 월급 계산이 더해진다. 영전강들이 업무를 맡아도 기획, 공문기안, 예산지출과 정산을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초등 영전강들이 가장 많이 하는 업무인 '영어캠프'는 기획과 학운위 심의, 학생모집, 예산처리까지 담당교사가 처리한다. 영전강은 수업만 담당할 뿐이다. 방과후 강사나 외부강사를 채용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만약 영전강이 방과후 수업을 하면 담당교사의 일이 더 많아진다. 방과후 기획과 관련 서류 등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월급여(명절 수당 등 제외)를 보면 현직 3년 차 교사와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더 많이 받는다. 영전강 임금이 초임교사 수준이라고 했는데, 근무학교에 따른 급지수당과 수업 22시간이 넘으면 초과수당, 또 다른 학교로 가면 받는 순회수당 등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전북 지역에서는 영전강들이 기본 급여 외에 방과후 수업으로도 월 100만 원 넘게 강사료를 받는다. 이에 현장교사들은 위화감이 조성된다고 불만이다.
영전강 제도는 수업과 평가권은 주면서 강사라 책임있는 일은 못 준다. 이로인해 담당교사는 영전강 관리를 떠맡아 업무과중을 호소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교과부는 여전히 영전강 제도가 현직교사 업무를 줄여준다고 한다. 영전강 때문에 영어 전담을 못하는 교사들은 이럴 거면 초등영어교육과는 왜 만들어놓고 초등임용교사는 왜 보냐고 비판한다.
(관련기사: 도입3년 영어회화 전문강사, 무엇이 문제인가)영전강 입장에서보면 버젓이 수업과 평가권이 있는데 강사로 불리고, 1년마다 재계약을 해야 하는 자체가 불편한 일이다. 학교 일에 열심히 참여하려고해도 독자적인 업무추진권이 없고, 초등학교 구조가 학급을 중심으로 움직여 담임교사가 아니면 분위기 파악도 쉽지 않다. 교과부에서는 공식문서로는 영전강이 영어공교육에 꼭 필요하다고 하면서 가장 중요한 신분상의 문제에서 '정규직도 안돼, 무기계약직 전환도 안돼'라며 발목을 잡고 있다. 이런 점 때문에 현장에서는 영전강 계약기간 확대가 교육적으로도 문제가 있고, 비정규직 문제를 더 악화시키는 정책이라고 비판한다.
영전강만 장기 채용, 기간제 교사는 어쩌라고?영전강 단체는 학교 일반 비정규직처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정규직으로 해달라고 한다. 그런데 현장에서 보면 영전강 제도 자체가 필요없다는 판단이 나오고 있다. 영전강은 교과부 주장대로 교원 정원 외에 뽑은 인력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면 영전강이 없는 학교가 더 많다. 학교에서는 신규교사나 영어연수를 받은 교사들이 많아, 초등교사들이 영어교육을 충분히 맡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 교사들의 수업시수를 줄여준다고 했는데, 그간 수업시수 감축이 많이 이루어졌고 주5일제로 토요일 4시간이 줄었다.
만약 영전강 단체의 주장대로 이들이 정규직화된다면 넘어야 할 강이 교사자격증과 다른 기간제교원과의 차별, 채용과정의 투명성 문제다. 교사를 하려면 교사자격증은 시험을 보는 자격일 뿐이고, 공립학교에서는 임용고시를 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