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사고 방사능영향 지역 분포도. 영광핵발전소와 전주시까지의 직선거리는 약 80Km이다. <사진 출처 - 탈핵신문 4호, 2012. 10. 20>
탈핵신문
지난 2011년 초,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에는 30Km 반경 내의 주민들이 이주하고, 70Km까지 방사능 고농도 오염지역으로 포함되었다. 영광핵발전소에서 후쿠시마 규모의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주를 포함해 전북지역은 고농도 오염지역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농후한 상황. 더욱이 영광원전부터 전북서북부까지는 평야지대로 서해안의 바람방향에 따라 피해지역은 커질 수밖에 없다.
김 보좌관은 이런 지리적 특성을 보더라도 전라북도가 영광핵발전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탈핵의 관점을 명확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우종 전라북도 소방행정과장은 전북의 방사능 방재대책을 설명하면서 "전북에도 방사능 방재와 관련된 조직과 대응인력이 준비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면서 방사능 방재대책을 수립하기 어려운 점에 대해 설명했다.
유 과장은 "방사능 방호대책이나 정책 결정과정에서 전라북도는 전혀 개입할 수 없다"면서 "현재 방재대책은 예산 등의 문제로 비상구역 약 10Km 정도만 세워져 있는데, 전북 독자적으로 20~30Km에 대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한수원 관계자들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는데, 전북에는 자세한 정보를 주지 않아서 대책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내년에는 8000여 만 원을 투입해서 방사능 예방 장비를 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용국 보좌관과 유우종 소방행정과장의 발제가 끝나고는 박맹수 한살림 '모심과살림연구소' 이사장의 사회로 권익현 도의원,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 윤종호 핵 없는 세상을 위한 고창군민행동 운영위원장이 참여한 종합토론으로 이어졌다.
영광원자력발전소가 전라북도에 미치는 영향과 방재대책을 점검하는 긴급토론회 2부는 박맹수 한살림 '모심과살림연구소' 이사장의 사회로 권익현 도의원,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 윤종호 핵 없는 세상을 위한 고창군민행동 운영위원장이 참여한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종합토론에 토론자로 나선 이들은 방사능 사고 대비 전라북도의 대책이 부실하다는 지적과 함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의 위험성이 검증된 만큼 지역을 넘어서는 탈핵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우리나라 핵연료 처분비용 72조 수준, 정부 감당 못하고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