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욱
출연연 고용 비정규직 노동자는 간접고용 노동자와 직접고용 노동자로 나눌 수 있다. 연구 인력은 대부분 직접 고용되는데 이들이 출연연 비정규직의 73%를 차지한다. 이들 연구업무 종사 비정규직 노동자의 대다수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중반의 연령으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했다.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고급 인력으로 불리지만, 소수를 제외하고는 연구 프로젝트에 고용된 '임시직 연구원' 층을 형성하고 있다.
위 전순옥, 정진후 의원의 자료와 2011년 권영길 전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임금은 정규직 임금의 80%~30% 수준이며 평균 계약 기간은 1~2년에 머물렀다. 특히 학연생, 연수생은 4대 보험도 적용 받지 못하는 등 임금과 처우 등에서 정규직 연구원에 비해 심각한 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월차나 연차와 같은 휴가의 사용도 실질적으로 제약을 받고 있었으며 출연연 복지제도의 형태인 복지카드 지급의 경우도 차별이 두드러졌다.
비정규직으로 출연연에 근무 중인 석사 연구원 B씨는 특히 복지카드 정책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복지카드의 연간 결제금액은 예를 들어 5년 미만자들은 연간 50만 원, 5년 이상 10년 미만은 연간 100만 원의 식으로 계약기간에 따라 정해진다. B 연구원은 5년 이상 근무를 했기 때문에 자신이 두 번째 단계를 지급받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았다.
"복지카드 적용연수를 총 재직연수가 아니라 재계약년수로 따지더라고요. 1~2년 단위로 계약하는 비정규직 연구원은 다 최저 책정 금액을 받는 거죠."논문 데이터를 빼앗기는 사례도 많아
C 연구원은 학사연구원으로 시작해서 현재 학연생(출연연구소 소속으로 연구팀의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대학교에서 수업을 들으며 학위를 취득하는 학생 연구원)으로 출연연에 근무 중이다.
C 연구원은 비정규직 연구원으로서 가장 힘든 순간 중의 하나로 논문 데이터와 얽힌 일을 꼽았다. 본인이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실험을 해서 논문으로 쓸 수 있을 정도의 데이터를 다 만들었는데 논문 저자에는 제외가 된 것이다. C 연구원은 "학연생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연구원들 대부분이 겪는 일이에요, 월급을 받고 일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일은 데이터를 내주는 것까지로 생각하는 거죠"라고 했다.
C 연구원은 정부의 연구 평가 기준과 비정규직이라는 고용 상태가 결합되어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논문의 몇 번째 저자인지에 따라 정규 연구원들이 받는 평가 점수가 달라요. 그리고 저자가 너무 많으면 점수가 깎이기 때문에 (비정규직) 연구원들까지 들어가면 점수가 낮아지게 되요. 모두 실적만 강조하는 구조에서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지요." 정부가 단기 논문 실적 위주로 석사 및 박사 급 연구원들을 평가하다보니 연구 공헌도 배분에서 비정규직 연구원은 가장 후순위로 밀리고 있는 것이다.
출연연 비정규직 문제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