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2호선 내부.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이후 불연재로 모두 바뀌었다.
조정훈
지난 10년 전인 2003년 2월 18일 오전 9시 53분. 안심행 1079호 기관사는 중앙로역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가 소화기로 불을 끄려 했으나 불길이 확산되자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채 밖으로 대피했다.
마주오던 1080호 전동차의 기관사 또한 화재가 났다는 무선연락을 받고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중앙로역에 진입해 정차했으나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곧바로 출발하려 했지만 단전이 돼 많은 인명피해를 키웠다.
당시 전동차는 불연재로 되어있지 않아 화재에 취약했고 기관사 또한 제대로 된 안전교육을 받지 못해 승객들을 남기고 혼자 대피해 많은 비난을 사기도 했다.
시설보완은 많이 됐지만 안전요원 없어
10년이 지난 지금 많은 승객들을 싣고 달리는 전동차 안은 안전할까? 대구시와 대구도시철도공사는 560억 원을 들여 모든 전동차의 시트를 방염처리하고 전동차 내장재를 교체하는 등 차량을 개선하고 역사의 안전을 위한 시설 개선 노력을 기울였다.
비상대응매뉴얼을 개발하고 승객의 긴급 신고수단을 개선하고 모의운전연습기를 개선하는 등 인적제도 개선도 많이 이루어졌다. 특히 승강장에는 방독면과 공기호흡기를 배치하고 재연벽을 설치하고 측광타일을 붙이는 등 화재 발생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화재사고 당시 문제로 지적됐던 기관사 1인 승무제는 10년이 지난 지금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2014년에 개통될 대구도시철도 3호선은 기관사가 없이 무인으로 운전하도록 하고 있어 사고가 발생했을 시 더 큰 재난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1인 승무제는 대구지하철과 같은 사고가 났을 때 수백 명의 승객들을 상대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오히려 더 큰 참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사고가 발생했을 시 기관사 혼자 교신하고 승객들을 대피시키고 초기 대응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대구도시철도 59개 역에 근무하는 역무원도 마찬가지다. 59개 역에 모두 615명의 역무원이 근무하는데 한 역에 근무하는 역무원은 평균 10.5명 꼴이다. 이는 지하철참사가 일어났던 2003년 역당 평균 12.1명에 비해서도 줄어들었다.
역무원은 3개조로 나뉘어 24시간 근무를 하는데 보통 2명이 사무실에서 근무하고 나머지 인원이 전체 역을 순찰한다. 역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 대응을 할 수 없는 구조이다.
중앙로역에 근무하는 한 역무원은 "12명이 4인 1조로 24시간 교대근무를 하는데 안전순찰활동을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안전시설을 확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력 충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구시와 도시철도공사는 예산 등의 문제를 들어 안전인력을 추가로 배치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시민들 대구지하철 안전 피부로 못느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