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MS(전력계통 제어시스템)란 전국 300여 개 발전기 상태를 추정한 뒤, 발전기 고장이나 송전선 차단 같은 상정사고를 감안해 연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급전 신호를 발전기로 보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전력거래소는 지난 2001년 미국 알스톰사에서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도 제대로 사용하지 않아 지난 2011년 9.15 정전사고도 발생했다는 게 국회 쪽 주장이다.
유재국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지난해 6월 보고서를 통해 EMS를 제대로 활용했다면 정확한 예비력을 계산할 수 있어 대규모 정전 사고 가능성도 낮아지고, 발전기 경제 운전을 통해 연간 수천억 원대 연료비 낭비 감소와 전력요금 인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현재 400만kW 수준인 운영예비력도 150~200만kW 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 해마다 반복되는 '전력대란 위협'과 '대국민 절전 압박'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을'이 '갑' 조사?... 전력거래소 발주 사업 참여 논란
전정희 민주당 의원도 지난해부터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국정감사 등을 통해 줄기차게 문제를 제기해왔지만 산업부(당시 지식경제부)와 전력거래소는 EMS 활용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결국 지난 4월 중립적인 대학교수들로 기술조사위원회를 꾸려 현장 실사에 나섰다.
위원회는 국회(전정희 의원)와 정부(산업부)에서 각각 추천한 김영창 아주대 교수, 김건중 충남대 교수, 김정훈 홍익대 교수, 박준호 부산대 교수, 이흥재 광운대 교수, 이병준 고려대 교수, 전영환 홍익대 교수 등 7명으로 구성돼 있다. 위원회는 애초 지난 4월부터 한 달간 조사를 마친 뒤 5월까지 조사보고서를 낼 예정이었지만 6월 이후로 계속 미뤄졌고 7월 5일 회의에서 최종 결론을 낼 계획이었다.
위원회는 지금까지 대여섯 차례에 걸쳐 현장 실사와 회의를 진행했지만 위원 간 의견 대립이 심해 합의 도출이 어렵다고 보고 각자 보고서를 제출한 뒤 이를 취합해 최종 보고서를 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김영창 교수만 보고서를 따로 제출했을 뿐 김건중 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위원 5명은 지난달 27일 따로 모여 의견을 취합한 뒤 공동 보고서를 만들어 국회와 산업부 등에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