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란의 잿더미 속에서도 시장은 열리다(서울, 1951. 7. 6.).
NARA, 눈빛출판사
#15. 동대문시장결혼
1965년 봄, 김준기는 김교문 교수 처조카 장미영과 결혼했다. 김 교수 부부가 적극 권유한데다가 남쪽에 피붙이 하나 없는 외로운 신세, 그리고 준기 자신도 오랜 자취생활을 끝내고 싶은 마음 등이 얽힌 때문이었다. 게다가 준기도 이제 그만 최순희를 잊어야겠다는 마음이 그를 결혼식장으로 향하게 했다.
결혼식 후 그들 부부는 직장 가까운 대전 유성에다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준기는 일단 결혼하면 그때부터는 최순희를 잊게 될 줄 알았는데, 오히려 새록새록 생각이 더 솟아났다.
그와 함께 구미 형곡동 김교문 행랑채에서 순희와 함께 지냈던 그 순간이 떠오르거나, 금오산 아홉산골짜기에서 아기자기하게 지냈던 산골 피난생활이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준기는 그래서는 안 된다고 자꾸 다짐하면서도 마음 속 깊이 연기처럼 피어나는 순희에 대한 그리움을 지울 수가 없었다. "빛과 사랑은 지울 수 없다"는 말 그대로였다.
그해 8월 15일이 다가오자 준기의 마음은 더욱 갈팡질팡했다. 8월 15일 준기는 아내에게 병원에 출근한다고 거짓 핑계를 댄 뒤, 대전 역에서 열차를 타고 서울시청 앞 덕수궁 대한문으로 갔다. 그날도 땅거미가 질 때까지 대한문에서 하염없이 기다리다가 터덜터덜 발길을 돌렸다.
결혼 이듬해 딸이 태어났다. 이름을 영옥이라고 지었다. 김영옥은 백일이 지나자 방실방실 웃었다. 준기는 딸의 웃는 모습을 보면 세상만사를 잊을 수 있었지만, 불을 끄고 잠자리에 누우면 또다시 순희의 얼굴이 떠올랐다.
'내레 왜 부모를 버리고 남쪽에 남았는가?'준기는 스스로 물어보았다.
'최순희 때문이디.' 답이 저절로 나왔다. 준기는 자기의 결혼이 경솔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순희 누이를 꼭 만나, 자신이 좀 더 느긋하게 기다리지 못하고 결혼한데 대해 사과하는 게 바른 도리라는 생각에 미쳤다. 준기는 그 이듬해 8월 15일에도 슬그머니 덕수궁 대한문에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