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그룹 유동성 위기 여파로 비교적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동양증권까지 빨간불이 켜졌다. 사진은 24일 오전 서울 을지로 동양증권 본점.
김시연
과거 CMA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은행 정기적금 못지않은 높은 금리 탓에 '제2의 월급통장'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종금형 CMA의 경우 다른 투자 상품과 달리 최대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는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 시초격인 동양종합금융(현 동양증권) CMA는 한때 잔고가 10조 원에 달했지만 연 3~4%대 금리가 2% 수준으로 떨어진 데다 2011년 종금업 인가가 끝나면서 인기가 시들해졌다.
하지만 종금형 대신 예금자 보호가 안 되는 RP(환매조건부채권)형이나 MMF(머니마켓펀드)형 등으로 갈아타면서까지 CMA 계좌를 유지한 투자자도 수십 만 명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는 증권사 직원 권유로 수익성이 높은 CP나 채권 투자로 옮겨가기도 했다.
이들에게 최근 모기업 동양그룹의 유동성 위기 소식은 큰 충격이었다. 마침 이번 주 들어 금융감독원에서 동양증권 고객자산보호 점검에 나선 데다 '형제그룹'인 오리온그룹이 동양그룹 자금 지원 요청을 거절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안감은 더 증폭됐다.
급기야 금감원은 이날 오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동양증권 등에 예치된 고객 자산은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다"면서 사태 수습에 나섰다. 김건섭 금감원 부원장은 이날 "고객이 CMA 등을 통해 투자한 주식·채권과 예탁금은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증권금융에 각각 예탁·예치돼 있고 예탁 의무가 없는 ELS(주식연계증권)·DLS(파생결합증권)도 국공채·예금 등 안전자산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동양증권이 모기업 자금줄 역할을 해온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산분리' 원칙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현재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소유만 엄격히 금지돼 있을 뿐 증권·보험·카드업에는 대기업들이 자유롭게 진출하고 있다.
제윤경 에듀머니 대표는 "금융 산업이 모기업의 재정 성과에 좌지우지되는 건 큰 문제"라면서 "모기업 위험이 금융계열사에 전이되지 않도록 금산분리 원칙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 대표는 "한때 CMA를 많이 권했지만 펀드나 채권 투자 등으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고 예금자 보호도 안 돼 문제 소지가 있다"면서 "지금은 CMA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2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월급통장'의 굴욕... 동양증권 CMA 탈출 러시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