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왕진교 하류. '국가습지목록'에 포함된 부여 저석습지는 4대강사업으로 하중도와 모래톱이 사라졌다. 그 자리는 녹조로 채워졌다.
대전충남녹색연합
"4대강 과대 광고하던 언론들은 지금 뭐하나. 김진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4대강 공사 끝나고 물이 맑아져 수영하면 반대하던 사람들 뭐라 할 것인지 궁금하다'했는데, 공사 끝난 지 1년이 넘도록 4대강에서 수영하는 사람 한 명도 못 봤다. 김진 논설위원이 4대강에서 수영 해봐라. 그래야 4대강 의혹 풀린다." - '간찰(poong258)'님 댓글 김진 논설위원이 실제로 저런 발언을 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가 4대강 사업에 찬성하고 적극 옹호해 왔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김 위원은 지난 2011년 8월 1일자 중앙일보 칼럼에서 "대운하라는 엉성한 논리로 반대하지 마라"며 4대강 비판론에 맞섰습니다. 그러나 감사원은 최근 '4대강 사업은 대운하를 염두에 둔 것'(
관련기사)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김 위원은 침묵하고 있습니다.
간찰(poong258)님의 말처럼 4대강 사업의 최대 화두 가운데 하나는 바로 '수질'이었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보를 만들어 물을 가두면 유량이 늘어나 수질이 개선된다는 논리를 폈습니다. 이에 환경단체와 학계는 보로 인해 물의 흐름이 정체되면서 오히려 수질이 나빠질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유속이 느려지면 수질이 나빠진다는 것이 상식이었지만, 정부는 '큰 물 그릇' 논리로 사업을 밀어붙였습니다.
과연 누구의 말이 옳았을까요? 지난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명숙 민주당 의원은 남한강의 능서보(현재 여주보)와 이포보, 낙동강의 구미보 등 4대강 중류지역에서 조류(녹조)의 원인물질인 '클로로필-a'가 급증할 것이라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09년 12월에 환경부에 제출됐지만 국토부는 이를 묵살하고 사업을 강행했습니다.
그리고 지난해와 올해 연달아 낙동강은 녹조로 몸살을 앓았고, 녹조가 거의 없었던 남한강에도 올해 녹조가 발생했습니다. 반면 4대강 사업 이후 수질이 좋아졌다는 소식은 들을 수 없습니다. 수질 문제에서는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 이명박 정부의 주장대로 강물을 막아 큰 물 그릇을 만들고 많은 물을 가뒀지만 그 물은 썩고 있다는 사실만 확인되고 있습니다.
덧붙여 4대강 현장에서 수영하는 사람을 본 적 없다는 댓글 내용에도 공감합니다. 지금 4대강 현장에 가면 얕은 물가와 넓은 모래사장 대신 수영금지 팻말이 서 있는 걸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수질문제뿐만 아니라 깊어진 수심도 수영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겠죠.
4대강 사업은 감사원조차 지적한 부실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