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아쓰기 저널리즘' 시대, '사실검증'이 필요해

언론재단, 한국형 팩트체킹 모델 연구보고서 발간... '오마이팩트' 대표 사례로 꼽아

등록 2013.10.21 18:53수정 2013.10.21 18:53
0
원고료로 응원
 <Factcheck.org> 메인화면
메인화면 캡처

"저널리즘의 중심 목적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시민들이 자치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언론인의 지침서라 불리는 <저널리즘의 기본원칙>(빌 코바치, 한국언론재단)은 책의 첫머리에서 이같이 말한다. "저널리즘의 본질은 사실 확인의 규율"이라고도 거듭 강조한다. 모든 뉴스는 사실에 기초해 진실을 보도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요즘 언론들은 꼭 확인된 사실만을 보도하지는 않는다. 채동욱 검찰총장 혼외아들 의혹 관련 일부 보도를 두고 지적된 문제들이 대표적 예다. 몇몇 언론은 주장을 사실인 마냥 "밝혀졌다"고 전하거나, 이를 근거로 전지적 작가시점에서 작성한 칼럼을 내놓았다. 확인 절차 없이 그대로 받아서 보도한 언론사도 있다. '황색 저널리즘', '받아쓰기 저널리즘'에 이어 '창작 저널리즘' 등의 비꼬는 표현이 등장한 이유다. 

언론을 향한 불신이 나날이 높아지면서 등장한 게 바로 '팩트체킹'(fact checking)이다. 우리말로 '사실검증'이란 뜻으로,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 발언의 사실 여부를 분별하는 보도방식이다.

1992년 팩트체킹을 처음 선보인 미국에서는 이미 <폴리티팩트(Politifact.com)>, <더팩트체커(The Fact Checker)>, <팩트체커(Factcheck.org)>가 사실검증의 3대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팩트체킹이 새로운 저널리즘의 장르로 주목받으면서 다른 나라들에서도 이같은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

언론재단 연구보고서, 국내 팩트체킹 대표 사례로 '오마이팩트' 소개

 지난 대선 당시 보도된 '오마이팩트' 기사
지난 대선 당시 보도된 '오마이팩트' 기사<오마이뉴스> 캡처

 지난 대선 당시 보도된 '오마이팩트' 기사 중 '피노키오 지수'.
지난 대선 당시 보도된 '오마이팩트' 기사 중 '피노키오 지수'.<오마이뉴스> 캡처

한국도 그 중 한 곳이다. 언론진흥재단에서 발간한 <저널리즘 공공성 실현을 위한 한국형 팩트체킹 모델 연구>(책임 연구 마동훈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에 따르면, 국내 언론사들도 사실검증과 관련해 다양한 시도에 나섰다. <중앙일보>와 <한겨레> 등은 자체적으로 기사의 사실 여부를 검증하는 '팩트체커'를 채용하거나, 독자들이 기사 오류와 관련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일찍이 마련했다. <동아일보>는  비정기적으로 '팩트체크'라는 기획기사를 통해 '윤창중 파문'이나 '정치권 공약 예산 추정액' 등의 주제를 다뤘다.


연구진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팩트체킹 모델을 도입한 대표 사례로 <오마이뉴스>의 '오마이팩트'를 꼽았다. '오마이팩트'는 지난해 대선 때 후보자들 발언과 선거캠프 주장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형식으로 진행된 일종의 탐사보도 기획이다. 당시 사실검증팀은 "대선 후보와 참모들이 하루에도 수십 건의 공약과 주장을 쏟아내고 있다"며 "유권자들의 선택을 돕기 위해 날마다 후보와 핵심 참모들의 발언을 신뢰할 만한 각종 데이터를 통해 검증할 것"이라고 기획 의도를 밝힌 바 있다.

<오마이뉴스> 사실검증팀은 2012년 11월 2일부터 12월 18일까지 76건의 관련 기사를 썼다. 5단계의 평가 점수와 더불어 거짓의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후보의 코가 피노키오처럼 길어지게 하는 '피노키오지수'를 도입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노력은 과거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던 '사실'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새로운 시도일 뿐만 아니라, 독자의 시선을 모으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연구진은 검증 대상의 선정과 게재 방식 등에서 편향성이 보였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들은 "검증 건수를 보면 박근혜 당시 후보 및 선거참모에 대한 검증 사례는 43건으로, 문재인 후보(18건)와 안철수 후보(6건)에 비하면 비중이 매우 높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해외 팩트체커들은 평가는 물론 게재 방식에서도 중립성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오마이팩트' 기사의 제목 등은 다소 중립성을 이탈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판단했다.

편향성 논란과 관련해 <오마이뉴스> 사실검증팀은 "안 후보 검증기사 건수가 적은 이유는 최종 후보가 되기 전에 사퇴한데다 그의 추상적인 화법과 적은 대변인 수 때문일 수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관련기사: '쫓겨난 기자'들이 '쪼잔한 기사'를 쓴다고?) 또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검증 대상 건수의 차이에 대해서도 "우리로서는 최대한 선입견 없이 저인망식으로  살펴본 결과물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연구진은 "미국의 주요 팩트체커들은 언론사와의 분리를 통해 나름의 독립성을 확보했지만, 국내의 경우 언론사 안에서 이뤄져 자사 보도에 대한 반론 등 스스로의 권리를 변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진단했다. "우리 사회의 정파적 갈등에서 수익구조를 찾는 한국 언론 지형 특성상, 수익이 담보되지 않은 팩트체킹에 뛰어들기 어렵다"고도 판단했다.

"공정성·독립성·수익성 보장이 국내 팩트체킹 모델의 과제"

결국 '공정성', '독립성', '수익성'이 국내 팩트체킹 보도의 과제라는 지적이다. 연구진은 "언론사 주도의 팩트체킹 모델이 객관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가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언론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학·공공기관·시민단체와 언론의 협업이 또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다양한 계층이 사실검증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보다 공정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협업 모델 역시 교수나 시민사회단체의 정파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연구진은 "앞으로 검증 대상·방식 등을 두고 논의를 지속해 한국의 '사실검증' 프로젝트를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적 팩트체커를 통해 언론의 공공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마이팩트 #언론재단 #팩트체킹 #박근혜 #문재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2. 2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3. 3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4. 4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5. 5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