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경속에서 자연과 하나가 된 추사를 만나다

등록 2013.12.13 14:01수정 2013.12.13 14:01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설경속에서 추사고택을 찾았다.
설경속에서 추사고택을 찾았다.강미애

눈 내리는 12월 11일에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49번지에 있는 추사 고택을 찾았다. 추사 선생님을 30년간 모시고 사는 노스님이 말씀하시길, 세간에서 말하는 추사체는 없다고 한다.


추사는 제주도 유배생활로 수행의 경지에 이르러 글씨체가 깊어져 자연과 하나가 되었다. 추사체를 잘 살펴보면 같은 글씨체가 하나도 없다. 말년에 추사는 붓을 집어 던지고 손에 잡히는 데로 나뭇가지, 솔방울 등 자연의 모든 것이 글쓰는  도구가 되었다.

   추사김정희의 묘
추사김정희의 묘강미애

우측의 완만한 능선 아래에는 추사 김정희와 두 명의 부인이 합장된 묘가 보인다. 묘 앞쪽에는 절개를 뜻하는 소나무와 바위가 눈 속에 서 있다. 추사 김정희는 키가 150cm에 귀티 나는 모습이었다고 전해진다. 첫째 부인 한산 이씨와 둘째 부인 예안 이씨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고 추사가 옥반지에 비유한 셋째 부인 초생이가 월성 궁에 남장으로 들어와 추사의 셋째 부인이 된 후에 아들 김상우가 태어났다.

     추사고택 옆있는 우물
추사고택 옆있는 우물강미애

추사의 무덤을 지나 고택으로 발길을 옮기면 우물을 만난다. 추사 고택의 대가족들이 길어 올렸을 우물은 오랫동안 가물어 말랐다가 추사가 태어나자 다시 우물물이 샘솟았다고 전해진다.

추사고택 뒤로는 완만한 능선의 동산이 있어 추사가 생전에 수행처로 삼았던 화암사 절에서 오솔길을 걷다가 보면 추사고택에 이르게 된다.

     추사고택 입구에 피어난 하얀 눈꽃
추사고택 입구에 피어난 하얀 눈꽃강미애

추사고택 돌담장 옆 나뭇가지에는 하얀 겨울 눈꽃이 피어났다. 추사 김정희는 겨울에 설경 속에 핀 눈꽃을 바라보며 무엇을 생각하셨을까? 그는 자연과 하나됨을 즐거워한 나머지, 자연를 도구삼아 백지위에 춤을 추며 무아의 경지에 들어갔을지도 모른다. 추사는 어린시절부터 겨울 눈꽃을 보고 감성을 키우고 자연의 경이로움에 눈이 떴을 것이다.


봄이면 추사고택의 솟을대문 앞에서 피는 목련꽃 대신에 하얗게 핀 겨울눈꽃에 잠시 마음이 머문다. 추사는 글과 그림, 글씨가 독창적이며 뛰어난 업적을 남긴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며 예술가이다.

어릴 때부터 그 천재성을 인정받아 아버지 김노경을 따라 청나라에 가서 당대의 학자인 옹방강, 완원 을 만나 재능을 인정받게 된다. 추사는 제주도의 유배 시기를 지나면서 학문이 깊어지고 추사체를 그의 독보적인 글씨체를 완성하게 된다.


    추사고택 사랑채 모습
추사고택 사랑채 모습강미애

솟을대문을 지나면 'ㄱ'자 형의 사랑채가 눈에 들어온다. 사랑채란 한옥의 안채와 떨어져 손님을 맞이하고 선비들과 글을 논하던 곳이다. 1910년께 화재로 이곳이 불타기 전에 김정희의 수만 권의 장서가 소장되었다고 전한다.

사랑채 앞에는 추사 김정희가 직접 제작한 해시계가 있으며 그의 아들이 '石 年'이라는 글을 새겼다. 안방마님과 여인들이 기거한 안채의 모습도 있다.

추사의 사랑채 나무 기둥에는 그윽한 추사의 향기가 서려 있는 글귀들이 눈에 띄는데 이 글들을 음미하노라면 세상시름을 잠시 잊고 뜨락을 거닐 수가 있다.

    추사고택 사랑채 뒷뜰을 돌아 나오는 길
추사고택 사랑채 뒷뜰을 돌아 나오는 길강미애

추사의 사당을 돌아 후문으로 나오면 추사의 뒤뜰로 나오게 된다. 약간 경사진 이글을 지나오면 안채와 사랑채의 툇마루가 보인다. 오래전에 머슴과 하녀들이 이 길을 지나며 숱한 애기들을 간직한 곳으로 여겨진다.

   하얀 눈세상에 서 있는 백송
하얀 눈세상에 서 있는 백송강미애

추사 고택을 나와 김한신과 화순옹주 묘로 향하는데 추사 김정희가 25세 때 생부 김노경을 따라 청나라 연경에 다녀오면서 가지고 온 씨앗을 고조부 김흥경의 묘소 앞에 심은 200년도 넘은 백송 한그루가 서 있다.

    추사 김정희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과 부인 화순옹주의 묘
추사 김정희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과 부인 화순옹주의 묘강미애

순백의 하얀 눈꽃 이불을 덮고 있는 영의정 김흥경의 아들 월성위 김한신과 화순옹주의 합장묘에는 돌 담장이 둘러싸여 있다.  문인석1쌍, 망주석 1쌍, 장명등의 묘석들이 있다. 비문에는 영조가 쓴 글이 새겨져 있다.

영조의 딸인 화순옹주의 열녀문으로 향하며 오던 길을 되돌아본다. 화순옹주는 김한신이 39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식음을 전폐하고 부왕 영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입안에 고이는 침조차 삼키지 않고 뱉아가며 결국 부근을 따라갔다. 영조는 부왕의 명의를 저버린 것에 서운하여 열녀 정문을 내리지 않았고 후에 정조가 열녀문을 내렸다고 전한다.

     화순옹주를 기리는 사당은 불타 없어지고 석축만 남아있다.
화순옹주를 기리는 사당은 불타 없어지고 석축만 남아있다.강미애

화순옹주의 열녀문 앞에 이르렀지만, 문이 굳게 닫혀있고 문위에 걸려있는 열녀문 현판이 보인다. 돌담 너머로 살짝 들여다본 열녀문 안에는 건물은 불에 타서 없어졌고 건물 석축만 남아있다. 애처러운 열녀문을 다시 건립해서 후세대들이 화순옹주의 지고지순한 정신을 잠시라도 기리고 갔으면 한다.

    이곳은 이름 없는 곳으로 추사의 고장 사람들이 붓글을 배울수 있는 서당으로 태어났으면 좋겠다.
이곳은 이름 없는 곳으로 추사의 고장 사람들이 붓글을 배울수 있는 서당으로 태어났으면 좋겠다.강미애

추사고택 좌측 우물가 옆에 있는 저 고택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안내원이 이름없는 곳이라고 한다. 추사의 향기가 서려 있는 이곳을 글을 쓸 수 있는 서당으로 태어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추사 고택을 매번 들릴때 마다 느끼는 일은 추사체를 연구하고 붓글을 쓰는 일은 일종의 정신을 가다듬는 일처럼 여겨진다. 추사가 말년에 자연과 하나가 되고 완숙의 경지에 이러른것 처럼, 현대인도 잠시 이곳에 들러 추사의 향기를 느끼고 붓글을 배울 수 있는 새로운 학문공간으로 태어났으면 한다.
#설경속의 추사고택 #김한신과 화순옹주의 묘 #사랑채 #추사김정의 묘 #김정희 추사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2. 2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3. 3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