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난로 앞에서 버티는 아프리카 예술인들'노예노동'으로 화제가 된 아프리카박물관 예술인들이 10일 경기도 포천 무림마을에 있는 자신의 기숙사에서 난방이 되지 않아 방 안에서 외투를 입은 채 전기난로를 틀어 놓고 있다.
이희훈
[기사 수정 : 11일 오후 2시 20분] 구멍 난 현관문을 열고 집 안에 들어서자 입김부터 나왔다. 신발을 신은 채 현관 옆방으로 향했다. 두툼한 패딩부츠 안으로 시린 기운이 스며들었다. 어두운 황토색 빛을 내는 전구 아래에 1평 공간이 자리했다. 싱글 침대와 1인용 옷장 탓에 발 디딜 여유조차 없었다. 에디(Chipani Edwin)의 방이었다.
"사실 여긴 방이 아니에요. 집 밖 발코니를 방으로 만들었어요. 그래서 좀 추워요."에디가 머리를 긁적이며 털어놨다. 집에 몸을 누일 공간이 없어 외부공간을 개조해 방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당연히 난방이 안 된다. 커튼 한 장이 발코니 창문 사이로 들어오는 바람을 겨우 막고 있었다.
발코니에서 살아가는 에디는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온 조각가다. 그는 홍문종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아프리카예술박물관에서 일한다.
쌀 무한정 제공? 알고 보니...에디를 비롯해 아프리카예술박물관에서 근무하는 이주노동자 12명은 10일 박물관의 '노예노동' 실태를 고발했다. 처음 약속과 다르게 수년간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급여를 받았고, 영화 <설국열차>에 나오는 '꼬리칸'과 같은 기숙사에서 겨우 생활해왔다는 주장이다.
<오마이뉴스>는 이날 늦은 오후, 경기 포천시 무림1리 마을회관 인근에 위치한 박물관 이주노동자 기숙사를 찾았다.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돌아온 이들이 보여준 집 안은 그야말로 사람 사는 곳이라고 믿기 힘들 정도였다.
에디가 사는 기숙사는 1960년대에 지은 집으로 방 1칸, 부엌, 화장실이 있다. 집 주인은 기자에게 "보증금 300만 원에 월 15만 원 짜리 집이다, 박물관에서 매달 집세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지은 지 50년이 넘은 이 집에는 짐바브웨 조각가 3명이 살고 있다.
3평 정도인 방 한 칸은 에디가 사는 발코니와 상황이 비슷했다. 합판으로 된 벽 사방은 곰팡이로 가득했다. 흰색 벽지는 이미 거무스름하게 물든 지 오래다. 벽 한 가운데에는 구멍이 뚫려있어 바깥 냉기가 방안으로 곧장 들어왔다. 보일러는 켜졌지만 방바닥은 금세 데워지지 않았다. 보일러 온도기에 찍힌 실내온도는 영상 4도였다.
에디는 "이 집으로 이사 오기 전에는 박물관 지하에서 살았는데, 여기나 거기나 환경이 안 좋은 건 똑같다"고 말했다. 그는 손이 시린 듯 이야기하면서 계속 양손을 비볐다.
부엌에는 500리터 짜리 냉장고 한 대가 놓였다. 박물관이 아닌 친구가 선물해준 것이다. 냉장고 안에는 겉이 바싹 마른 양배추와 피망, 인스턴트식품이 있었다. 이들이 받는 식비는 1인당 하루 4천 원. 이마저도 2500원에서 오른 금액이다. 에디는 "식비가 너무 적어 제대로 된 음식을 해먹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박물관 쪽은 한 언론과 한 인터뷰에서 식비논란과 관련해 "쌀을 무한정 제공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실제로 박물관은 기숙사마다 정기적으로 10kg 쌀 한 포대씩을 지급했다. 에디의 기숙사는 지난 4일께 새로운 쌀을 받았다. 그런데 쌀 봉투에는 '2014년 1월 2일까지'라고 적혀 있었다. 이미 유통기한이 지난 쌀을 받은 것이다. 집 안에 있던 이주노동자들은 "이미 몇 차례 겪은 일"이라면서 "유통기한 지난 쌀을 주는 것에 대해 박물관에 항의를 해도 바뀌질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쥐에게 뜯긴 새 옷... "2살 아들에게 보내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