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오찬호 교수. 그는 "차별에 찬성하는 대학생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조한빛
정말 대부분의 학생이 비정규직 차별에 찬성할까? 오찬호 교수는 "그런 학생이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고 답했다.
"작년에 청소노동자 문제나 '안녕들 하십니까' 같은 문제들이 있었다. 예전에는 그런 사건이 터지면, 물론 사람마다 입장이 다르겠지만 강의실에서 들을 수 있는 가장 나쁜 대답이 '관심 없어요'였다. 그런데 요즘은 이런 사건이 터지면 '쟤는 뭐 무슨 당 애 아냐?'라든가, '저런 식으로 스펙을 쌓으려고 하는 거 아냐?' 이런 식으로 비아냥거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노동, 복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비상식적으로 바라본다."그는 또 대학생들의 사회관이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 대학 학과가 줄어들고 경영학과 파이가 늘어난다. 인문학 과목이 줄어들고 영어 강의 같은 실용 과목이 늘어나고 있다. 학생들이 이걸 당연하게 여긴다. 취업률 기준으로 학과 구조조정 하고, 기업이 이윤을 목적으로 노동자를 해고하는 걸 당연하게 생각한다. 해고 노동자의 어려움을 얘기하려고 하면 '기업 입장에선 어쩔 수 없잖아요.'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기보다 기업 CEO처럼 사고한다."그는 학생들에게서 벽을 느낀다고 했다. 노동 이슈 같은 경우 기본적인 대화조차 되지 않는다고 한다. 때문에 그는 "낙담도 많이 한다"고 말했다.
'안녕들 하십니까'와 차별오찬호 교수는 '안녕들 하십니까' 열풍에 대해서는 "좋은 현상이지만 과잉 해석하는 건 반대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20대를 중도, 우파, 좌파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안녕들 하십니까' 현상을 우파나 중도에 있던 20대가 좌파로 이동했다고, 좌파의 파이가 늘어났다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데 나는 여기에 반대한다. 좌파가 더 강하게 눌리니까, 그만큼 더 강하게 반발이 일어난 것이라고 본다. '상황이 너무 안 좋으니까 뭔가 한 마디는 해야 되겠다'하는 현상이라는 거다. 오히려 그 현상 자체가 20대가 어떤 사회에 들어가 있는가를 역으로 보여주는 거다."'안녕들 하십니까' 현상이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의 반대 근거로 제시될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와 그 현상을 비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럼 걔네들은 뭐냐?'는 식으로.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나는 책에서 특정한 현상이 아니라 일반적인 경향을 얘기하고 싶었다. '안녕들 하십니까'에 참가했던 학생들은 좌파에 가깝다. 하지만 내가 책에서 말하는 학생들은 중도 내지 우파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파이는 후자가 훨씬 크다. 두 번째로, 그 열풍에 참가했던 학생들도 차별에 찬성하게 되는 속도, 차별에 대한 강도 정도만 다를 뿐이지 자기계발 열풍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결국에는 차별의 대열에 들어설 것이다.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럴 수밖에 없다"실현 가능한 방법은 지속적인 문제제기
그렇다면 자기계발 열풍은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오찬호 교수는 "대학이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에서 인문학이 장려되면, 인간성에 대한 교육이 확장되면 노동자를 인사관리의 개념에서가 아니라 인권 개념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감정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 같은 것에 대해 잘못된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하지만 대학이 변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대학에 이미 기업 논리가 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다. 오찬호 교수가 준비하고 있는 다음 책도 대학의 기업화에 관한 것이다. 그도 "대학이 변하는 게 가능할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일까? 그는 "확실한 방법은 없다"면서도 다만 지속적인 문제제기에서 대안을 구했다.
"문제제기를 하다보면, 거기에 공감하는 사람이 늘어날 수 있다. 그럼 여론이 형성될 것이고, 담론이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면 사회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전에 기업이 입사원서에서 재산, 가족의 학력 등을 적는 게 문제가 돼서 없어졌던 것처럼 말이다.""손해 보면서 살았으면 좋겠다"그는 마지막으로 젊은이들이 자본이 쳐 놓은 효율성, 편리성에 저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루하루 내가 좀 손해 본다는 느낌으로 살았으면 좋겠다. 우리 사회가 편리성 효율성이란 개념으로 강요하는 게 굉장히 많다. 100m 앞에 스타벅스가 있고 500m 앞에 공정무역 커피가 있다고 해보자. 그 사이에도 커피숍이 10개 더 있다고 하자. 학생들은 스타벅스가 가깝고 편해서 좋을 것이다. 편리성에 따라 스타벅스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사회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프랜차이즈가 정복을 하고, 저쪽에 공정무역은 멀다는 이유로 아무도 안 알아주고. 우리가 자본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거부하게 되면 손해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그런데 그렇게 사는 거에 익숙해져야 한다. 자본이 야기한 사회의 편리성에 대해 저항할 줄 알아야 한다. 파리바게트가 편하고 뚜레쥬르가 편하니까 결국은 동네 빵집은 사라진다. 이건 빵집을 차릴 수 있는 환경이 사라지는 거다. 빵집을 차리려면 대기업에 고용돼야 한다. 이런 사회가 좋은 사회는 아니라고 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공유하기
"날로 정규직 되려하면 안 된다는 20대, 왜 이러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