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주인공이었던 생선, 이런 역사 있었네

[서평] 마크 쿨란스키의 <대구>

등록 2014.04.01 09:57수정 2014.04.01 17:38
0
원고료로 응원
 대구 ⓒ위키백과
대구 ⓒ위키백과위키백과

과거에 한 전쟁이 있었다. 무려 세 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쟁 '대구 전쟁'(the Cod Wars, 1972~1976). 생선의 이름에 전쟁이라는 단어를 붙이니 이상할 법도 하겠지만, 실상을 알고 보면 자연히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북대서양의 어족은 크게 늘어났다. 더불어 이때 각국의 어업에 관련된 '영해 문제'가 대두하게 된다. 새로운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영국과 아이슬란드는 영해선 안쪽으로 들어온 선박을 나포하고, 대륙붕에 기인한 영해에 관해 국제사법재판소에 중재를 요청하며, 해안 경비대 선박에 무기를 장착했다. 이 대구 전쟁은 공해상에서의 '범퍼카' 게임이나 다름없는 상태로 변해버렸다. 1976년, 유럽경제공동체는 '200마일 영해'를 선언하게 된다.


"트루먼은 선포했다. '어업 자언의 보전과 보호에 대한 다급한 필요성에 비추어, 미국 정부는 해안 인접 공해상의 해역에 환경보호 구역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간주하는 바이다.' (중략) 이 선포가 나오자마자 전후에 새로운 민족주의 열풍이 불던 라틴아메리카가 이에 호응했으며 그중 여러 나라가 자국의 대륙붕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고 나섰다."(본문 195~196쪽)

 <대구> 책표지
<대구> 책표지RHK
고기는 식용하고 간에서는 지방유를 뽑아내는 생선 대구. 어류 중 국가간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대구 하나뿐이 아니다. 하지만 언론에서 생선의 이름을 붙여 전쟁이라 부르고, 그 전쟁이 세 번의 줄다리기를 거듭했다는 점에서 비춰볼 때 대구는 특별한 생선이다. 그 대구를 다룬 책이 지난 2월 말에 번역 출간됐다. 책 이름은 논쟁적 어류의 이름을 그대로 옮겨놓은 <대구>(마크 쿨란스키 씀, RHK, 1997년 초판 발간)다.

책을 쓴 마크 쿨란스키조차 대구의 어원은 알 수 없었던 모양이다. 대신 그는 이름에 얽힌 다양한 '설'을 전해준다. 영어를 사용하는 서인도제도에서는 소금에 절인 대구를 '소금 절임 생선(saltfish)'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소금 절임 생선은 속어로 여성의 성기를 의미한다고 한다. 또한 중세 영어에서 코드(cod)라는 말은 자루나 부대 혹은 음낭을 가리켰단다.

"대구라는 생선이 성행위를 삼가는 날에 신앙심 깊은 가톨릭 교도들이 먹는 식품으로 세상에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언어에서 대구를 지칭하는 단어가 어째서 성적인 암시를 얻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본문 59쪽) 

그런가하면 우스갯소리에 가까운 이야기도 있다. 17세기 대구 어업 덕분에 가문의 부를 쌓아 올린 자들은 사람들로부터 '대구 귀족'이라 불렸다. 그러한 가문에 속한 사람들은 대구를 부의 상징으로 여겨 숭배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주(州)의 인장, 최초의 미국 주화, 대저택 계단에 장식된 도금한 나무 대구. 심지어 의사당에 매달린 나무로 조각된 대구도 있었는데, 쿨란스키는 이것을 두고 매우 어리석은 짓이라며 냉소를 보낸다.

이렇듯 책 <대구>는 제목 그대로 '대구'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나아가 그에 얽힌 1000년의 역사와 세계사의 추이를 톺아보기에도 손색이 없다. 90년대 후반 출간돼 <죠스> 이후 가장 많이 팔린 어류 관련 서적이 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일지 모르겠다.


어업 기술(항해술·레이더·무전 연락 등)이 날로 발달함에 따라 물고기를 포획하는 데에도 위험성이 다소 줄어들기는 했다. 하지만, 어업 현대화로 인해 케이블이나 트롤망(저인망)이 롤러에 끼는 등 또 다른 종류의 사고가 발생했다.

 <대구> 본문 ⓒRHK
<대구> 본문 ⓒRHKRHK

현대식 트롤선(저인망어선)에서 어부가 기계에 끼어 죽는 게 주된 사망원인이라고 알려졌다. 1980년대 중반 캐나다의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어민 10만 명당 212명이 일을 하다가 사망했다고 한다. 이는 다른 업종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숫자며, 1990년대 중반 미국에서 일 관련 사고로 사망한 노동자는 10만 명당 5명이었던 반면, 어민의 경우 10만 명당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본문 148쪽 내용).

쿨란스키는 사고 비율이 높은 이유 중의 하나를 어부들의 부족한 잠이라고 진단했다. 식탁에 올릴 생선 한 마리를 잡기 위해 그들은 충분한 수면도 취하지 못한 채 생활 전선에 내몰렸던 것이다.

그럼에도 인간은 욕심이 많다. 물고기를 잡는 동시에 즉시 그것을 냉동할 수 있는 고성능 선박을 개발했고 어류를 '쓸어 담았다'. 그 결과, 1990년대 이후로 대구는 멸종에 가까운 재앙을 맞고 있는 중이다. 무분별한 대구 남획 문제는 국가와 기업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탓에 해결하기 힘들다고 한다.

쿨란스키에 의하면 UN 식량농업기구가 추적하는 물고기 유형의 약 60%는 완전히 이용되거나, 과도하게 이용되거나, 심지어 고갈된 것으로 분류된다(이 책이 출간된 것이 지금으로부터 10년도 더 됐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책 <대구>에는 작금의 대구가 처한 상황을 설명해주는 대목이 있다.

"19세기에 들어서자 소금에 절인 대구는 고삐 풀린 상업주의를 무엇보다도 잘 상징하는 것이 되었다. 즉, 모뤼(morue; 프랑스어로 대구를 뜻한다)는 상업에 의해 격하된 뭔가를 의미했다. '그래, 그래. 너한테서 소금기를 없애주마. 이 대구(grande morue)야!' 에밀 졸라의 1877년 작 소설 <목로주점>에 나오는 대사다. 루이 페르디낭 셀린(소설가)은 언젠가 별들이 '투 모뤼(tout morue; 너무나 대구 같은)'하다고 쓴 적이 있는데, 이는 별들이 소금에 절인 대구로 만들어졌다는 뜻이 아니라 우주가 값싸지고 뒤틀렸다는 뜻이다."(본문 61쪽)

소설처럼 술술 읽히는 책 <대구>

책에는 50여 쪽이나 되는 분량을 할애해 지난 6세기 동안의 대구 조리법이 나와있다. 이것은 1000년에 걸친 대구의 역사를 우스꽝스럽고도 자못 진중하게 인식하게끔 만드는 장치이기도 하다.

책 <대구>는 역사와 사실을 담고 있지만, 소설처럼 읽힌다. 생선 한 마리의 역사가 곧 세계의 역사와 지도가 될 수 있다는 것에도 동의한다. 책은 생선 저미는 기계, 생선 냉동법의 연구, 수산물 회사의 설립, 급속 냉동 공정 개발 등 어업과 관련한 인류 기술의 발자국을 다룬다. 그리고 대구에 얽힌 민담과 대구의 몰락을 이야기한다. 자연과 인간의 유대가 머지않아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대구는 흰 살 생선 중에서도 살이 하얀 편이어서 대중들에게 격찬을 받아왔다. 또 20%에 달하는 단백질을 함유한 어종이다. 살은 먹고, 부레는 접착제에 사용하고, 껍질은 먹거나 가죽으로 가공했던 대구.

쿨란스키는 책 마지막에서 "포유류는 한 번에 100만 개의 알을 낳지는 않는다며 포유류를 죽여 없애는 것보다는 물고기를 죽여 없애는 쪽이 더 어렵다"고 이야기한다. 그러고는 덧붙인다. "천 년에 걸친 대구 사냥 이후 우리는 그런 일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이다.

자, 그럼 이제 책에서 쿨란스키가 묘사한 어느 항구의 풍경으로 눈을 돌려 보자. 대구를 잡아 온 배가 항구로 들어온다. 그러나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에 비해 어획량이 충분치 않다. 생선을 사지 못하고 발길을 돌리는 사람들. 누군가 어부에게 묻는다. "도대체 나머지 물고기는 다들 어디로 가버린 걸까요?"

어떤가, '투 모뤼'하지 않은가?
덧붙이는 글 <대구> (마크 쿨란스키 씀 / 박중서 옮김 / RHK / 2014.02. 1만6000원)
본 기사는 aaaaiiight.tistory.com에 동시 게재됩니다.

대구 - 세계의 역사와 지도를 바꾼 물고기의 일대기

마크 쿨란스키 지음, 박중서 옮김,
알에이치코리아(RHK), 2014


#대구 #책 #RHK #마크 쿨란스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