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오페라단 '살로메'. 살로메(카티아 비어 분)가 세례 요한의 참수된 머리를 놓고 기뻐하는 모습
문성식
제5회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위원장 김귀자)이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지난 2일 한국오페라단(단장 박기현)의 <살로메>로 성대한 개막을 올렸다.
2010년 시작해 올해로 5회를 맞는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은 올해는 성서내용 오페라가 <살로메>(한국오페라단), <삼손과 데릴라>(베세토오페라단), <루갈다>(호남오페라단) 세 작품으로 눈에 띈다. 이중 <살로메>, <삼손과 데릴라>는 팜므파탈 이야기다. 그리고 <나비 부인>(글로리아오페라단), 창작오페라 <천생연분>(국립오페라단)까지 흔하지 않은 오페라 레파토리를 만날 수 있다.
2일 개막을 알린 한국오페라단의 <살로메>는 과연 논란의 중심이 있는 공연이었다. 1994년 프랑스 바스티유오페라단과 정명훈 지휘의 바스티유오케스트라에 의해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개관기념으로 공연된 이후 21년 만에 같은 곳에서 공연되는 대작 오페라 <살로메>를 선택한 도전정신과 열정으로 공연을 관객에게 보여준 것이 제일 큰 박수를 받을 일이다. 성서를 바탕으로 한 '팜므파탈'이라는 흥미진진한 내용이 극을 보는 동안 때로는 전율까지 일으켰던 순간도 있었다.
하지만, 큰 각오로 임한 공연인 만큼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몇 가지 비판을 감수해야 하는 측면들이 보였다.
우선은 '해석'의 문제이다. 연출인 마우리지오 디 마띠아는 지금으로부터 2000여 년 전인 기원전 30년 경 갈릴리 호수근처의 헤롯왕의 궁전을 오히려 지금으로부터 100년 후인 2114년의 궁전무대로 설정했다. 100년 후인 것은 좋다. 그런데 무대배경이나 의상이 전혀 미래적이지 않다. 무대는 여느 시대의 큰 계단을 내려오는 큰 궁전홀이다. 물론 지난 100년간 세계의 의상변화를 본다면 지금으로부터 100년 후의 의상이 그렇다고 우주복처럼 변해있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궁정의 헤롯왕과 유대인, 나자렛인들, 병사 등 남성의상은 수트나 청바지 등 캐주얼한데 비해, 살로메와 헤로디아, 무희들의 의상은 중세 귀족풍의 드레스 의상에 머무른다. 오늘날 어느 연회장에 가서 볼 수 있는 여성의 드레스라도 그 정도로 트렌드에 뒤떨어지게 입지는 않을 것 같다. 어쩌면 연출의 이태리팀과 의상의 한국팀 사이의 균형이 일치하지 않은 문제일 수도 있다.
다음은 음악이다. 사실, 첫 번째 문제로 삼아야 할 부분이 음악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오페라가 무대, 의상, 연기, 음악의 종합예술이지만 음악의 안정된 뒷받침 위에 모든 것이 쌓아올려진다. '음악'의 속성상, 다른 것은 어느 수준이하로 되어도 관객이 감당할 수 있지만, 음악은 '귀'로만 듣는 시간예술이기 때문에 음이 틀리거나, 타이밍이 정확하지 않으면 무척 불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