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세차량 자체 제작확성기가 달리고, 운동원들이 이동할 때 사용하는 유세차량의 제작및13일 대여비 5백여만원이다. 우리는 지인의 트럭을 빌려 30여만원을 들여 목공작업만 끝냈다. 결국, 사람이 탈 공간이 없어서 대부분 걸어다녀야 했다.
이정혁
평범한 시민의 선거 이야기, 그 세 번째 시간이다. 구구절절 경험담만 늘어놓기에는 지면의 한계가 있기에, 이번 회에서는 일반 시민으로서 선거를 치르며 느낀 문제점들에 관해서 쓰려고 한다. 선거 뒷이야기도 재미가 쏠쏠하지만, 선거의 한가운데서 몸소 체험한 문제점들을 쓰는 것도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 때문이다.
첫 번째 문제점은 무엇일까? 눈치 빠른 독자는 짐작하셨겠지만, 역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의 폐해다. 선거를 겪고 나니 반드시 폐지되어야 할 악의 제도라는 생각이 든다. 기초선거란 내가 사는 동네의 일꾼을 뽑는 것이다. 주민 자치라는 근본 취지를 가지고, 특정 당의 정치적 성향과는 별개인 주민의 대표를 뽑는 선거인 것이다.
물론 나 역시도 어쩔 수 없이 제1야당의 공천을 거쳤지만(후보자가 없어서 간단한 인터뷰로 끝낸 공천), 내가 만난 대다수 유권자들은 '지방자치는 이제 당이 아닌 인물을 보고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백배 공감한다. 우리 동네 살림살이를 맡아 일할 머슴을 뽑는데 능력과 됨됨이로 판단해야지, 족보 따지고 성향 따져서 어디에 쓸 것인가?
결국 이번 선거에서도 뻔한 결과가 나왔다. 세 명의 시의원을 뽑는 우리 지역구에서 1등은 새누리당 기호1-가, 2등은 새누리당 기호1-나, 그리고 3등은 친박연합 출신의 현역 시의원이었다(다행인지 불행인지, 새누리당 후보 세 명 모두에게 도장을 찍어 발생한 무효표가 많았다고, 개표 참가자가 귀띔해줬다).
기초선거 공천에는 지역 국회의원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다. 지역주의가 심한 지역에서 공천은 곧 당선과 마찬가지다. 유력 정당의 공천을 받은 후보자들은 형식적인 선거를 치르게 되고, 결국 당선이 된다. 이는 총선과 대선으로 이어져, 자신을 공천해준 그분들의 행동대장으로 열과 성을 다하게 되는, 일종의 조직 서열정리와 구역관리인 셈이다. 이게 바로 내가 경험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의 참모습이다.
지난 대선에서 여야 한목소리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를 폐지하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박근혜 대통령은 아직까지도 묵묵부답이다. 이 자리를 빌어 대통령께 묻고 싶다. 약속은 언제 지킬 건지, 그리고 기초의원들에게 정치적 성향과 정당의 존재가 그리도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그동안 숱한 잡음과 폐해를 남긴 정당공천제는 이번 선거에서도 살아남았다. '깨끗한 공천'이라는 말을 비웃기라도 하듯 '공천 심사 때 들고 가는 보따리 속의 액수가 얼마라더라'라는, 마치 증권가 전단지 내용 같은 풍문이 저잣거리를 휩쓸었다. 하지만 늘 그래왔듯이 그 실체는 당사자들 외에는 확인할 길이 없다.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약속, 언제 지킬 겁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