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5일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한 남북 적십자 접촉에서 북한 박용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왼쪽)과 우리측 수석대표인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이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합의한 뒤 악수하고 있다.
통일부
안보적 측면에서 핵무기 등 전략무기 개발을 통해 위협을 해소하면서도 외교적으로는 현재의 고립적 상황을 탈피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김정은 체제 들어서면서 처한 국제적 환경은 엄혹하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제3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결의가 이어졌다.
또 영원한 혈맹으로 믿었던 중국도 시진핑 체제 들어서면서 국제사회의 일반적인 대북압박 노선에 동참하는 모양새다. 박근혜 정부는 핵문제 우선 해결 전략이라는 이명박 정부의 프레임을 그대로 이어가는 대북정책을 취하는 상황이다.
김정은 체제로서는 국제적 환경이라는 구조적 상황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외교정책을 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외교정책은 일단 러시아와 일본을 향하는 모양새다. 전통적 혈맹인 중국과 관계가 소원해진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동진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러시아는 북한이 추파를 던질 만한 대상이다.
북한과 러시아는 최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정부 간 통상경제·과학기술협력위원회' 회의에서 대대적인 양국 경제협력에 합의했다. 우선 북한이 무역대금을 러시아 통화인 루블화로 결제하고 러시아가 북한 내 지하자원 개발사업에 참여키로 했다. 또 러시아의 석유화학기업 '타이프'는 북한에 주유소망을 구축하는 사업에 관심을 표명했으며 일부 러시아 기업들은 금광 등 북한 지하자원 개발사업에 눈독을 들였다.
심지어 북·러 양측이 러시아가 나진항에 드나드는 대형선박의 안전확보를 위해 러시아 보조함대를 나진항에 주둔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보조함대가 군함인지는 불확실하지만, 북한이 외국군의 주둔을 허용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일본·몽골·러시아와 협력 강화하는 의도북한은 러시아와 더불어 중국이 껄끄러워하는 몽골과 관계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이 작년 11월 방북해 김일성대학에서 강연하며 "인민은 자유로운 삶을 열망하며 이는 영원한 힘"이라며 "어떤 폭정도 영원히 지속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또 강원도의 목초지인 세포등판 개발을 비롯하여 농·목축업에서 공동협력을 위한 것으로 여겨지는 '조선·몽골 친선공동회사' 설립에 합의했으며, 몽골의 정유회사 '에이치비오일'(HBOil)이 북한 내륙에서 유전을 탐사할 준비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몽골은 나진항을 이용해 석탄을 동해로 실어내는 물류사업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일본도 북한 김정은 체제가 국제적 환경 변화를 위해 공을 들이는 대상이다. 아베 정부는 영토문제와 과거사 문제로 한국·중국과 최악의 갈등을 빗는 상황에서 동북아시아라는 역내 영향력의 끈을 유지할 수 있는 채널로 북한을 선택할 수 있다. 북한으로서는 일본과 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각 공조의 틀을 깨면서 일본의 경제적 지원을 끌어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북일 양측의 이해가 서로의 관계개선을 통해 맞아떨어지는 셈이다.
두 나라의 외교적 발걸음은 어느 때보다 분주하다. 북한은 지난달 4일 일본인 납치 피해 문제 등을 조사할 특별조사위원회를 조직해 모든 일본인에 관한 포괄적 조사를 개시했고, 이 위원회에는 국방위원회와 국가안전보위부, 인민보안부 등 권력기구들이 망라됐다.
일본도 북한의 위원회 구성시점에 맞춰 독자 제재 일부를 해제했고 8월에는 돗토리(鳥取)현 사카이미나토(境港)시의 나카무라 가쓰지(中村勝治) 시장이 라선시를 방문하기도 했다. 중국과 미국의 압박에 맞서 러시아와 일본이라는 카드를 꺼내들면서 남쪽에는 대화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김정은 체제가 원하는 한반도 구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