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밴드 ‘어나더 원(Another one)’ 시절 앨범 타이틀 곡
김영숙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3인조 밴드를 만들었다. 군대 가기 전까지 머리를 기르고 '미친 놈'처럼 다녔다. 군대에서도 문화선동대로 1년에 7~8개월을 행사가 있을 때마다 파견됐다. 제대 후 예전 밴드 했던 형들을 만나 다시 밴드 활동을 시작했다.
"자꾸 기회가 생기는 거예요. 데모 테이프를 주니까 녹음실에서 오라고 해서 한동안 거기서 숙식하기도 하고, 편곡하는 사람을 만나 편곡을 배우고, 유명한 작곡가를 만나 작업을 같이 하면서 내 자신이 우쭐해지는 느낌이 들면서 머리를 또 길렀죠. 그러면서 밴드를 다시 조직해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당시 홍대나 여러 클럽에서 공연하면서 유명한 팀들과의 경쟁에서 스스로 '우리가 저 팀 이겼다'라고 자의적 판단을 내렸던 하늘 높은 줄 모르던 시절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내가 왜 그랬는지 정말 웃겨요. 내 느낌에 빠져 나 혼자 잘했고 나 혼자 다 했다고 생각했거든요. 내가 곡을 만들어 다 연습을 시켰던 시절이었으니까요. 내 밴드이고 내 음악이고, 완전 다 나였어요."보컬이기도 한 태철씨의 장점은 얇고도 높은 음역대를 소유했다는 것이다.
"그 당시는 자고 일어나면 목소리가 반음 올라가고 또 그 다음날 반음 올라가고 했다니까요. 4옥타브 도 샵(#)까지 올라갔어요. 그래서 작곡도 아주 고음으로만 했죠. 지금 생각하면 바보짓을 한 거죠. 왜 그렇게 높게 만들었는지…"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하고 싶던 어린 시절의 치기였을까? 황씨는 많은 사람들이 록을 좋아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록이 대중화되면 그 가치가 떨어질 것 같은 생각에서 그랬다.
'Another one'과 'Never run'서울에서 활동하던 태철씨는 2008년 인천으로 와 밴드 'Another one'을 결성했다. 제물포역 근처에 연습실을 두고 처음엔 3명으로 활동하다가 5명까지 늘기도 했다.
밴드 이름에 담긴 의미는 이랬다.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또 다른 하나'라는 뜻이겠죠. 나란 존재가 있는데 음악을 하는 또 하나의 나란 존재가 있다는 뜻이라고 하면 될까요. 일종의 음악 하는 나의 아바타? 현실에서 존재하는 내가 있지만 음악에서는 또 다른 내가 있다는 말이죠. 음악 할 때는 미쳐있는 나요."밴드가 연습할 때는 이른바 '카피(copy)'곡이라는 기존 노래를 연습하기도 했지만, 이 팀은 카피 곡은 거의 안 하고 자작곡을 중심으로 연습할 만큼 자신감이 가득했다. 한 달에 한 번은 반드시 공연해야 했으며 자작곡도 꾸준히 나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노래는 다른 팀이 연주하기 어려울 만큼의 수준이어서 높은 음역대를 주로 차지했다.
"그러다 보니 지치더라고요. 그 다음은 또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압박도 심했고요. 그러다가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직장을 구했죠. 일을 하다 보니 몸이 지쳐 연습 횟수도 줄어들었죠. 머릿속엔 계속 음악이 있었지만 팀을 해체했어요. 그 무렵 연습실을 함께 쓰던 팀 중에, 취미로 카피 곡을 한 달에 한두 번 편하게 하던 팀이 있어 그 팀에 합류했어요."그 팀이 'Never run'이다. '안 뛰어도 되고 천천히 가자'라는 뜻을 가진 이 밴드는 평균 2주에 한 번씩 연습한다. 누가 일이 생기면 그것마저도 늦춰지는데, 그럴수록 연습시간이 기다려진다.
"음악에 몰입하는 삶은 경제적으로 너무 힘들어요. 사실 공연 수익만으로는 살 수 없어요. 하지만 그것보다 제가 음악만 하면 방탕하게 될 것 같아요. 그렇게 살면서 좋은 음악이 나올 것 같지 않고요. 오히려 지금 만드는 곡들이 옛날보다 훨씬 좋은 거 같아요. 마음도 편하고요."'Never run' 성원은 현재 5명이다. 보컬이 충원돼 황씨가 직접 노래하지는 않는다. 직장생활을 겸하는 성원들은 프로 실력을 갖고 있다. 보컬의 경우 한 종편의 프로그램인 '히든싱어' 김종국 편에 섭외가 들어왔다. 그러나 직장인이라 출연하기 위한 한 달 정도의 연습이 불가능해 포기했다. 태철씨도 '김종서'편 때 작가한테 연락이 오기도 했다.
"멤버들이 지향하는 게 비슷해요. 우리는 공연을 목표로 연습하진 않아요. 일 끝나고 한 달에 몇 번이 됐든 모여서 맘 편하게 노래하는 게 좋은 거죠. 그 중에 맛을 돋우는 향신료처럼 생활의 활력을 넣어주는 게 공연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다 곡이 쌓이면 녹음을 할 수도 있겠죠."음악은 고통, 그러나 달콤한 무엇"나에게 음악이란 고통이에요. 유일하게 제일 잘하고 좋아하는 게 그거라서 시작했는데 나한테 고통을 줬어요. 그렇지만 버릴 수 없잖아요."가장 고통스러웠을 때는 언제였을까?
"곡을 만들고 연습하면서 멤버끼리 생각이 다를 수 있잖아요. 작은 차이에서 시작했는데 갈등이 깊어져 밴드를 그만둬요. 사람을 많이 잃었어요. 술도 많이 먹고요."특히 한동안은 공황장애 증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전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람들이 모두 머리를 기른 자신을 쳐다보는 것 같은 두려움에 빠지기도 했다.
그런데 왜, 로커들은 머리를 기를까.
"한 방이죠. 무대에서 연주하면서 머리를 젖혔을 때의 맛이 있어요. 그 맛은 달콤한 무엇인데 절대로 잊을 수 없죠."황씨는 음악 장르 중 하나인 록의 매력에 대해 "밴드 멤버 모두 주인공이잖아요. 대중가요는 가수만 부각되는데, 밴드는 멤버 하나라도 빠지면 안 되니까 그게 좋아요"라고 말했다. 이어 "한 곡을 같이 연주하는 게 얼마나 멋있어요. 내 파트에 들어갔다가 빠지고 다시 합치는 과정이 매력이죠"라고 덧붙인다.
음악을 시작한 지 25년이 넘다보니 음악에 대한 생각도 변해간다.
"록 스피릿(=정신)이요? 저는 그거 다 버렸어요. 젊은 날에는 록 스피릿이 온몸에서 삐져나왔다니까요. 요즘은 말랑말랑한 발라드도 자주 들어요. 진정한 록의 정신은 자유가 아닐까요? 지금 제가 느끼는, 밴드 연습시간이 기다려지고 멤버들 만나면 집에 가기 싫을 만큼 떠들고 웃는 자유처럼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