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주요 국가 ‘사회임금’ 비교 (2011년 기준, 한국 미국은 2012년. 가처분소득 대비)
민병두의원실
'사회임금'은 오건호 내만복 공동운영위원장이 지난 2009년 국내에 처음 도입한 개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복지 지출 비중'과 함께 한 나라의 '복지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사회복지 영역을 노동자들에게 친숙한 '임금' 개념으로 인식하도록 해, 임금 인상과 사회복지의 단절을 최소화하려 한 것이다.
민병두 의원실에선 이번에 사회임금을 계산하면서 현금 부분은 가처분소득 가운데 공적이전소득으로 계산하고, 서비스 부분은 OECD 복지 지출의 현금·현물 비중 자료를 근거로 합산했다.
민병두 의원은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가계소득 증대 정책'이 배당소득 과세 제외, 부동산 부양 등 '부자 소득 증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서민들의 사회임금 확대를 위해선 내년 예산안에 복지 지출 증대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사회임금이 낮을수록 노동자들이 구조조정에 저항하게 된다며, 큰 위험을 수반하는 중소기업 기업가들의 '혁신 경제'를 위해서도 높은 사회임금을 통한 '위험의 사회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