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장면. 인천시는 아시안게임 개최를 위해 발행한 지방채와 그 이자를 합해 1조 7500억원을 2029년까지 갚아야한다.
시사인천 자료사진
인천시 그동안 자산매각으로 버텨시 세입예산은 크게 지방세·세외수입·지방채·교부금·국고보조금으로 구성돼있다. 이중 시가 걷는 항목이 지방세(취득세·자동차세·지방소득세·지방소비세·담배소비세 등)와 세외수입이다. 세외수입은 경상적 세외수입(주정차 위반 과태료, 종합문화예술회관 이용료, 박물관 이용료, 상하수도 이용료 등)과 임시적 세외수입(자산매각)이다.
시가 설정한 올해 지방세 규모는 2조5600억 원이고, 세외수입은 7300억 원이다. 7월 말 현재 지방세 징수율은 57.5%이며, 세외수입 중 경상적 세외수입 600억 원을 제외한 임시적 세외수입은 6700억 원으로 앞서 지적한 것처럼 매각이 불투명하다.
시가 걷어 들이는 지방세와 경상적 세외수입만으로는 시 인건비와 경상운영비(사업비를 제외한 각종 법적·의무적 경비: 교육청 법정전출금, 자치구 재원조정교부금, 사회복지시설 지원 예산, 문화예술 지원 예산, 사회단체보조원금, 인천지하철 지원금, 버스준공영제 지원금, 인천의료원 지원금 등)를 마련하기도 빠듯하다.
시 재원에 한계가 있어, 국고보조사업에 따른 시비 매칭(일정한 비율로 부담)도 어렵다. 이에 유정복 시장은 불요불급한 국고보조사업을 조정하라고 지시했다. 시는 그동안 지방채와 자산매각으로 버텨왔다. 하지만 이제 자산매각이 여의치 않고, 아시안게임 부채마저 추가 됐다.
시 재정상황이 이러하자, 유 시장은 2018년까지 지방채 발행을 중단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유 시장의 의지와는 별개로 현재 시 재정 상태로는 신규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
시 재정위기는 시민들의 삶에 악영향을 끼친다. 인천교통공사는 지하철 요금을 200원 인상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대중교통은 공공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게 타당하나, 현재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시 재정위기가 본격화하면서 무상교육과 무상보육은 둘째치더라도, '수익자 부담' 아래 각종 공공재 이용료를 인상해야할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지하철뿐만 아니라 버스, 상하수도, 예술회관, 주차장 등이 모두 대상에 포함된다.
자치구 재정위기는 더욱 심각2008년 미국에서 비롯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2009년 유럽의 재정위기 사태로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우리나라 정부는 부동산경기 활성화 대책으로 세금 감면정책을 확대 시행했다. 이로 인해 취·등록세에 기반을 둔 지방재정의 세입 기반은 더욱 위축됐다.
특히, 지방세 비과세와 감면 정책은 지방세 감소분에 대한 적절한 보전 계획 없이 지방자치단체의 의사와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시행됐다.
취득세 감면은 지방재정을 강타했다. 광역시·도의 지방세 중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취득세이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취득세의 일부를 재원조정교부금으로 자치구에 교부하는데, 총액이 감소하면서 자치구의 세입도 크게 줄었다.
일례로 부평구의 경우 2010년 재원조정교부금이 172억 원 감소돼 2011년 본예산에 공무원 인건비 4개월 치(110억 원)를 편성하지 못하기도 했다.
여기에 2008년 소득세·법인세율 인하, 종합부동산세 인하 등으로 소득세·법인세의 10%인 지방소득세가 감소했고, 정부의 '부자감세' 정책에 따라 내국세가 줄면서 법정 교부세[내국세의 19.24%로 광역시·도와 시·군(자치구 제외)에 배분]가 줄어 지방세입이 감소했고, 종합부동산세 인하는 자치구의 재원인 부동산교부세의 감소를 초래했다.
2008년 세제 개편으로 인해 2012년에만 지방세입이 약 7조8000억 원 감소했고, 2008년 이후 2012년까지 누적 세입 감소분은 약 29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고령화와 저출산 대책에 따라 복지사업이 늘면서 지자체의 복지예산은 2008년 22조 원에서 2014년 40조 원으로 늘었다. 총예산 대비 복지비 비중도 17.4%에서 24.5%로 증가했고, 복지비 연평균 증가율은 11.0%로 지방예산 증가율 4.7%의 두 배 수준을 넘고 있다.
2013년 무상보육 확대와 2014년 7월 기초연금 시행으로 지방비 부담이 급격히 늘었다. 기초연금 시행으로 지방비는 2014년 1.8조 원, 2015년 2.6조 원, 향후 4년간 10.1조 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평구의 경우 기초연금 지급률이 6월 전체 노인인구의 67.6%에서 7월 이후 70.3%로 2.7% 포인트 증가했고, 향후 고령화에 따른 65세 이상 인구의 꾸준한 증가가 예상된다. 2015년에는 기초연금이 924억 원으로 2014년 626억 원보다 297억 원(47%)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재정 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시는 물론 자치구는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 해법은 없는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예정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