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대학에선 장애인의 이동을 도울 엘리베이터 설치는 물론, 휠체어 사용자가 발로 엘리베이터 조작이 가능하도록 해놓았다. (장애인을 위한 통합교육시설 공간계획 가이드 40페이지)
지식경제부
접근권에 대한 사람들의 낮은 인식도 문제다. 변재원씨는 "인문과학관 경비원에게 엘리베이터가 왜 없는지 물었더니 '15년 근무하면서 이런 문제 제기는 처음'이라는 답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캠퍼스의 접근권 문제는 장애인만이 체감하고 인식해야 하는 문제로 봐선 곤란하다.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조문순 센터장은 7일 "장애 학생이 있든 없든, 교통사고로 다리가 불편한 학생이 갑자기 생길 수 있다"며 "지하철 엘리베이터 설치로 장애인뿐 아니라, 유모차 끄는 어머니도 함께 이용이 가능해졌다"고 접근권은 모두의 문제라고 말했다.
장영준씨는 "아무리 시설이 좋고, 차별금지법이 강력하다고 해도 사람들의 인식이 올바르지 않으면 빛 좋은 개살구"라며 "한국과 미국의 가장 큰 차이는 장애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예컨대 미국에선 정류장에서 버스를 탈 때 장애인이 버스에 오르기 전에는 다른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상황을 모르는 누군가 버스를 타려고 하면 운전기사가 저지한다고 한다.
장씨는 "기사는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고 손수 안전벨트와 고정장치를 채워준다"며 "이러는 동안 1~2분이 소요되지만 승객 어느 누구도 불평하거나, 짜증스런 표정으로 쳐다보지 않는다. 어딜 가나 장애인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엘리베이터를 탈 때, 긴 줄을 설 때도 맞은편에서 오는 휠체어를 발견한 행인은 한쪽으로 비켜서 장애인을 먼저 보낸 다음에 갈 길을 간다고 했다. 장씨는 "전동 휠체어에 부딪히거나 바퀴에 발이라도 끼면 위험한데도 우리나라에선 휠체어에 들이대듯이 자기 갈 길을 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대학에서 수업 접근권은 비단 '강의실을 갈 수 있느냐'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대학생활은 학술 자료를 얻고, 담당 교수의 조언을 받고 기숙 생활하는 것 등을 포괄한다. 대학에 같은 등록금을 낸 장애인이 강의실뿐 아니라 도서관과 식당, 기숙 시설 등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는지,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가 가능한지 등도 접근권 범주 안에 들어간다.
변재원씨는 "장애인이 단순히 강의실에 접근할 수 있는지 따질 게 아니라 대학 생활을 동등하게 할 수 있느냐를 바라봐야 한다"며 "대학은 엘리베이터 설치 등 시설 보충을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장애인과 연대도 희망했다. 변씨는 "접근권 문제를 대학법인과 장애인 개인의 싸움으로 볼 건 아니다"며 "비장애인도 관심을 가지면 장애인 혼자 극렬한 저항과 법적 소송까지 가지 않아도 충분히 많은 걸 해결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2
목마름을 해소할 생수 같은 기자가 되겠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겠습니다. 스스로를 물어보겠습니다.
공유하기
목발 이용해 4층까지 오르라니... 수강 포기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