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수첩메모 '고의 노출' 아니냐고?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신년기자회견을 열고 새해 정국 구상을 밝혔다. 김 대표는 자신의 수첩에 적힌 'K, Y. 내가 꼭 밝힌다'는 메모를 고의로 노출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누명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남소연
실제로 친박과 비박은 이날 오전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수첩 파동' 등을 놓고 충돌했다.(관련 기사 :
이재오 "행정관까지 헛소리..." vs 이정현 "정치할 자격 없다" )
친이계 좌장이었던 이재오 의원은 "(문고리) 비서관 3인만 아니라 행정관까지 나서서 온 데 헛소리하고 다니면 되겠나"라고 청와대에 돌직구를 던졌다. 또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여론을 반영하는 기자회견이 아니라 여론과 거꾸로 가는 기자회견이었다"라면서 "(박 대통령은) 인적 쇄신을 요구했던 그 대상들에게 면죄부보다 더 큰 힘을 실어줬다"라고 비판했다.
비박인 심재철 의원도 "국민들이 주목했던 전반적인 쇄신요구는 잘못된 것인양 치부되고 말았다"라고 박 대통령을 비판했다.
친박 이정현 의원은 이에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지금 국민들이 대통령과 정치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원하고 바라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라며 "이것조차 판단하지 못하면 스스로 정치할 자격 없다"라고 쏘아 붙였다. 즉, 박 대통령은 국민의 가장 큰 바람인 '경제'에 집중해 기자회견을 했는데 이 의원이 잘못 알고 비판하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책임 묻지 않고 친박 달래기... "지는 것이 민주주의, 지는 당대표 되겠다"그러나 김 대표는 이날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수첩 파동' 확산을 멈춰 세웠다. "황당한 얘기", "음해"라고 표현하긴 했으나 자신과 유 의원을 문건유출 파동의 배후로 지목한 청와대 행정관에 대한 조치도 요구하지 않았다. '당사자'로서 책임을 묻지 않고 논란 확산을 정리한 모양새다.
김 대표는 특히 자신이 고의로 본회의장에서 수첩을 펼쳐서 사진을 찍히게 했다는 것도 '누명'이라고 표현했다. 자신이 고의적으로 본회의장에서 수첩을 펼쳐서 이번 논란을 만들었다는 친박 측의 시선 역시 불식시키고자 한 셈이다.
그는 친박·비박 갈등의 분수령으로 예측되는 차기 원내대표 경선에 대해서도 "언론인들의 상상력이 너무 과하다"라면서 언급 자체를 피했다. 또 자신의 대권 도전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 당대표의 책임감만으로도 벅차다"라면서 즉답을 피했다. 모두 친박 측의 경계도를 낮추는 답변이다.
김 대표는 최근 당내 갈등 현안이었던 ▲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에 대한 여의도연구원장 임명 여부 ▲ 조직위원장 여론조사 결과 반영방식 등에 대해서도 한 발 물러서면서 철저히 '갈등 관리자'의 면모를 보였다.
김 대표는 여의도연구원장 임명에 대해서 "저는 저 나름대로 절차를 밟았지만 당내 소수의 강한 반대가 있다"라면서 "이 문제를 강행하며 당의 평화를 깰 생각이 없다, 시간을 갖고 반대하는 분들과 더 많은 대화를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당 조직강화특위가 자신의 의사와 달리 조직위원장 선출에 여론조사 결과를 60%만 반영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조강특위에서 제 뜻과 다를 결정을 내렸다고 해서 제 뜻을 강요할 생각이 없다"라고 물러섰다.
특히 "지는 것이 민주주의"라면서 "저는 '지는 당대표'가 되겠다"라고 덧붙였다. "할 말 하는 당대표"를 자임했던 김 대표가 "지는 당대표"까지 거론하면서 여권 내 균열을 방어한 것이다.
평가는 엇갈린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김 대표가 갈등 국면으로 치달을 수 있는 당내 상황을 감안해 상당히 자제한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김종민 정의당 대변인은 "김 대표 답지 않은 회견이었다"라면서 "수평적 당청관계는 새누리당에서 할 수 없는 소리가 아님을 여실히 보여줬다"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현안이슈팀·기획취재팀·기동팀·정치부를 거쳤습니다. 지금은 서울시의 소식을 전합니다.
공유하기
'박근혜 코드' 맞춘 김무성, 당청갈등 막았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