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락시장 시장도매인제 도입 여부를 놓고 찬성론자와 반대론자들 사이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가락시장 야경
농산물비상장품목정산조합
과거에 비해 그 세가 많이 위축됐지만 가락시장은 여전히 국내 농산물 가격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 시장도매인제가 도입될 경우 농산물 유통에 미칠 파장은 그래서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농민회, 가톨릭농민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 등 5개 단체는 지난 해 12월 시장도매인제 도입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반면 지난 2월에는 전국 출하농민 5만575명이 국회, 농림축산식품부, 서울시 등에 시장도매인제 도입에 반대하는 연대서명부를 제출했다. 가락시장 시장도매인제 도입 여부를 놓고 힘 겨루기 양상까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이해관계자들의 갈등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 시장도매인제 도입에 대해 합의점을 찾기 위해 전문가 대토론회가 열렸지만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난 것이 그 단적인 예다. 고성이 오가는 등 매우 험악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한다.
이와 같은 분위기는 약 1조 원(9700억 원)이 투자되는 가락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12월 서울시의회는 가락시장 시장도매인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서울시농수산물도매시장 조례를 개정했고, 이에 따라 새로 탄생할 가락시장은 거래장소를 유통방식에 따라 경매장과 시장도매인거래소 등으로 구분해서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처럼 갈등이 커지는 상황에서 가락시장 현대화는 그 설계 단계부터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가락시장 시장도매인추진위원회 소속 이태성 상무(사단법인 농산물비상장품목정산조합)를 9일 만나 찬성론자들의 주장이 무엇인지 직접 들어봤다. 그는 "현행 경매제도를 아예 갈아엎자는 것이 아니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이 상무는 "강서시장의 경우처럼 시장도매인제와 경매제도를 함께 경쟁시키자는 것이 핵심"이라면서 "그것만이 죽어 가는 가락시장을 되살릴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은 인터뷰 주요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가락시장 같은 도매시장들이 죽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