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행복한 노후 보내기, 과연 가능할까.
pixabay
개인이 노후 준비해야 하는 한국현재 노후 소득은 공적 이전과 고용 소득, 자산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다시 말해 노령연금이나 국민연금 등으로 소득보장이 높거나, 계속 일할 수 있어 일정 소득을 얻거나, 모아놓은 자산이 부족하지 않다면 일단 경제적인 어려움은 덜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노년이 마주하는 '진짜' 현실은 어떨까?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45.6%(Pensions at a Glance 2013)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우리의 전체 빈곤율(15.2%)과 유사한 미국, 일본과 비교해도 노인의 경제적인 빈곤은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의 노후 소득은 공적 이전 16.3%, 일 소득 63%, 자산 20.8%로 구성돼 국가 지원보다는 노인 개인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OECD 국가 평균 공적 이전은 58.6%, 일 소득은 23.9%, 자산은 17.6%에 달한다. 한국의 수치와 OECD 평균을 비교해보면, 공적 소득 부문에서의 격차가 42.3%p로, 그 차이가 가장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우리의 노후 소득 보장 체계가 그만큼 열악하다는 이야기다. 은퇴 이후 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한국 48%, OECD 평균 69%로 21%p의 큰 격차를 보인다. 국가의 공적 지원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 때문에 노년에도 일을 놓을 수 없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노년기가 돼서도 전일제 노동을 통해 공적 이전으로 부족한 필요 소득을 채워야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한국의 기대 수명은 81.4세다. 그러나 건강 수명은 73세로, 기대 수명까지 8.4년의 공백은 궁핍하고 힘들게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 노인성 질환 때문에 의료 기관에 기댈 수밖에 없고, 이 때문에 의료비 부담도 가장 크게 상승하기 때문이다.
말뿐인 국가 책임, 현실과의 격차 좁히려면 아직 멀어현행 초·중·고 교과서에도 노후 생계 대책으로서 국가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최근 이뤄진 인식 조사에서도 자녀보다는 부모 본인과 국가의 책임이 더 크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 모두는 여전히 '그래야 하지 않겠느냐'는 당위성과 인식 사이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앞서 제시된 수많은 자료에도 드러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스스로 노후를 준비하지 않으면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어렵다.
서두에서 언급한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다시 곱씹어 보지 않을 수 없다. 든든한 연금도 보장되지 않고, 노년기 일자리 역시 평균 임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단순 노무직에 기대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오래 산다는 건 정말 '재앙'일 수밖에 없어 보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새사연은 현장 중심의 연구를 추구합니다. http://saesayon.org과 페이스북(www.facebook.com/saesayon.org)에서 더 많은 대안을 만나보세요.
공유하기
한국식 '장수 조건' 없으면 오래 사는 건 '재앙'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