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 민주광장에서 별도의 5·18 35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5·18유가족회 등 5월 관련 3개단체, 광주전남지역 시민사회단체,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가 개최한 기념식에는 5·18 유가족, 시민, 세월호 유가족, 정치인 등 1천여 명이 참석했다.
강성관
눈여겨볼 부분은 정부행사에서 여야 대표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회의원들은 노래를 따라 불렀지만, 국무총리 대행 자격으로 온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입을 다물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합창 방식이기 때문에 노래를 따라 부르는 건 자유다. 그러나 이미 논란이 부각된 만큼 정부행사에서조차 참석자들이 노래를 부르는 데 있어 제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는 건 보훈처가 강조한 통합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행진곡 논란에 대해 "북한에서 악용되었다고 부르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고,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역시 "박근혜 정부는 5.18의 위대한 역사를 지우려고 한다"며 비판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대통령의 행사 불참이다. 이완구 국무총리의 공백 여파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대행으로 참석했지만 중량감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였던 2013년에만 기념식에 참석했고, 지난해에는 총리가 대신했다. 백번 양보해 보훈처의 입장처럼 국민통합이 우선시됐다고 치자. 그렇다면 노래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게 그렇게 어려운 일이었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1990년생인 내게 <임을 위한 행진곡>은 낯선 노래다. 이번 논쟁을 계기로 노래를 찾아 들어봤다. 도대체 가사의 어떤 부분이 북한과 연결된다는 건지 당최 이해할 수가 없었다. 작사·작곡가의 정치적 문제라면 애국가도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지 않은가? 애국가의 작사가인 안익태가 친일을 한 정황이 있고, 작사가로 유력한 윤치호가 명백한 친일을 저질렀다고 해도 애국가는 애국가일 뿐이다. 동일한 이유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제창돼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 아베 역사왜곡과 닮았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