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폐쇄 된 응급실 앞에서 마련 된 임시접수처에서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희훈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의사 파문과 관련, 보건복지부가 책임 회피에 급급한 모습을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대책본부는 5일 브리핑에서 애초 "35번 (의사)환자를 (14번 환자와의) 밀접 접촉자 범주 대상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2m 이내의 근접거리에서 노출된 상황이 아니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으나, <오마이뉴스>가 취재한 바에 따르면 해당 의사(B씨)는 14번 환자와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다른 환자를 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사가 소속된 삼성서울병원 홍보팀 관계자는 5일 오전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응급실 환자(A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후 감염관리실에서 CCTV를 보니 그 의사가 본 환자가 14번 환자 바로 옆 침대였다고 한다, 침대 사이에서 14번 환자에 등을 돌린 채 회진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보팀의 또 다른 관계자도 "(그 의사가) 확진환자를 진료한 것은 아니고 다른 환자를 보러 갔던 건데, (메르스 환자와) 근접해서 2m안에 있었을 거라는 게 추정"이라고 밝혔다. 이 의사는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 전 서울시민 1500여 명과 직·간접적으로 만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다.
이에 따라 복지 당국은 미흡한 초동 대처에 이어 또 한 번 방역체계와 사후 대처에 허점이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해당 의사가 보균 상태에서 수천 명 시민을 만났는지, 왜 적절한 격리 조치가 없었는지 등을 놓고 공방이 오가는 가운데, 이 병원에서는 대체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알아봤다. 시간대별 상황을 당사자들 전화 인터뷰 등를 토대로 재구성했다.
[5월 27일]
- 평택성모병원에서 최초 메르스 확진자와 동일 병동 사용한 A씨(35), 또 다른 ㄱ병원 거쳐 D대형병원 응급실 도착. 증상은 '폐렴기, 호흡기 질환'이라고 밝힘.
- 의사 B(38)씨, A씨 바로 옆 침대 색전증 환자 진찰 위해 응급실 방문, A씨 등지고 색전증 환자 진찰. 약 40분 정도 머뭄. [5월 29일]
- 병원 측, A씨가 평택성모병원에서 온 사실 발견. 검사 통해 29일 밤~30일 새벽 확진 판정.
- 의사 B씨, 경미한 기침... 정상적 병원 근무. 서울시 "메르스 증상" vs B씨 "알레르기성 비염" [5월 30일]
- 복지부 "A씨, 14번째 메르스 확진 환자" 발표,
- 병원 측, A씨 격리 조치 후 응급실 소독, A씨 접촉환자들 격리 및 응급실 CCTV 모니터링으로 출입 의료진 확인
- 의사 B씨, 경미한 기침 계속.... 병원 심포지엄→재건축 조합 총회(조합원 1565명)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