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북한 무역총액북한의 수입액과 수출액의 총 합인 무역총액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2010년 5.24조치 이후 북중 무역이 증가하면서, 증가세가 가파르게 커지고 있다.
경실련통일협회
전 교수는 북한의 경제·사회적 변화를 급작스러운 일이 아닌, 90년대부터 진행되어온 사회주의 모순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로 보고 있다. 실제 북한은 90년대 동구권 몰락 이후 경제체제 개선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대표적인 것이 2002년 북한이 기존 계획경제의 실패를 인정하고 그 대안으로 제시한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다. 7·1조치는 물가 인상, 급여 인상, 배급제 변화, 환율 현실화, 가격 책정 및 공장 기업소 책임경영 강화 등 부분적으로 시장경제 체제를 수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 교수는 이러한 일련의 경제조치들로 축적된 결과물이 김정은 정권 이후 인민생활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최근 북한 경제 주체로 개인의 경제활동이 부각되면서 경제중심 주체가 소비자 중심 구조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전 교수는 그 예로 북중 접경지역인 단둥의 밀수품 또는 교류품목이 생필품보다는 다양한 소비재로 변화하고 있는 점을 들었다. 사실상 북한이 강조해 왔던 '자력갱생'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 있는 셈이다.
또한 전 교수는 중국 중심의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했다. 전 교수는 유희장, 수영장 건설 등 북한 정권 이름으로 진행되는 건설 사업들이 실제로는 중국자본의 투자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북한 전역에 걸쳐 인민생활 개선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한의 5.24조치로 남북교류협력이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지만, 오히려 북한의 경제, 사회적 환경은 개선되고 있는 셈이다. 이는 북한 내부의 자생력뿐만 아니라, 나날이 비중이 커져만 가는 북한 경제·사회의 중국 의존도 심화에서도 찾을 수 있다. 실제 5.24조치 직전인 2009년 북한의 대중국 무역의존도는 50% 정도였지만 5·24조치 이후인 2010년에는 83%로 증가했고, 2013년에는 90%에 이르렀다.
사회문화교류 제도화를 통해 안정적 운영 필요해